경제·금융

北 지난해 대외무역액 33% 증가

적자 8억5,688만弗…90년이후 최대기록북한이 지난해 대외무역액이 크게 늘어나면서 사상 최대의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3일 '2000년도 북한의 대외무역동향'보고서에서 지난해 북한의 대외무역이 19억6,954만 달러(수출 5억5,633만 달러ㆍ수입 14억1,321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99년에 비해 수출은 8.0%, 수입은 46.5% 늘어난 것으로 교역액 전체로는 33.1% 늘어났다. 무역수지는 99년 4억4,963만 달러 적자에서 8억5,688만 달러 적자로 90년 이후 적자규모가 최대를 기록했다. 수출품목으로는 기계ㆍ전기전자와 화학ㆍ플라스틱 제품의 대외수출 신장률이 높아지고 섬유ㆍ철강의 비중이 낮아지는 등 북한이 수출구조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도 불구 농수산물ㆍ광물 등 1차상품 수출비중이 32%에 달해 북한의 수출구조가 여전히 후진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고 KOTRA는 지적했다. 수입품목 중 발전기ㆍ기계부품 등 공장 개보수 설비, 컴퓨터 부품, 수송문제 해결을 위한 차량 등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쌀ㆍ옥수수 등 곡물 수입량은 전년 대비 77.8% 늘어났고 원유ㆍ정제유 등 에너지자원의 수입도 22.0% 증가해 북한의 총수입중 식량ㆍ에너지물자 비중이 31.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중국과 일본이 북한 전체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8년 56%, 99년 48.7%에서 지난해 다시 48.3%로 떨어진 반면 태국과 홍콩이 주요 무역기지로 떠올랐다. 북한은 홍콩에 지난해 2월 총영사관을 개설하는 등 아시아교역의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태국에서는 주요 원료의 수입을 늘리고 있다고 KOTRA는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남북교역은 북한의 대외무역통계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무역총액의 21.6%에 해당하는 4억2,500만 달러에 이르러 중ㆍ일에 이어 세번째 규모를 기록했다. KOTRA는 "북한은 수출과 수입의 연동성이 부족해 만성적인 적자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지난해 무역총액이 증가한 것은 남북교역과 금강산 관광사업에서 벌어들인 외화로 수입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라며 "북한의 대외무역이 증가세를 이어가려면 남북경협 확대가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영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