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주거복지 틀 다시 짜자] 단지내 '마을형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로 자립 돕는다

LH, 시흥 능곡등 8곳 운영<br>입주민 두부 등 만들어 판매


임대주택단지는 3가구 중 1가구가 근로소득이 없을 정도로 경제적 자립 기반이 취약하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입주자도 대부분 비정규직이거나 일용직이다. 이 때문에 민간임대에 비해 저렴한 임대료조차 못 내는 가구도 상당하다. 서울에만 임대료를 내지 못해 쫓겨난 임대주택 입주자가 최근 5년간 501가구에 달하고 퇴거 대상만도 3,500여가구에 이른다.


노후화된 임대주택을 개ㆍ보수해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일자리 지원을 통해 자립ㆍ자활을 지원하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일이다. 사회 전반적으로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이지만 임대주택단지의 일자리 창출과 입주민이 원하는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관련기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 2010년 시흥 능곡, 청주 성화, 대구 율하 등 3개 임대주택단지에 사회적 기업을 개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5곳을 추가, 총 8곳의 마을형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사회적 기업은 두부나 비누ㆍ가방 등을 만들어 판매하는 한편 마을 건강증진센터나 공부방ㆍ도서관 등을 운영하는 등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교육ㆍ문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8곳의 사회적 기업에서 100명가량의 임대주택 입주자가 일하고 있다. LH는 연내 5곳의 사회적 기업을 추가 지정하는 등 향후 3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SH공사도 지난해부터 6개 서울형 사회적 기업과 손잡고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직업훈련과 수습근무를 병행 실시하는 한편 사회적 기업에 정식 취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임대주택단지 내에 설립된 사회적 기업이 창출한 일자리가 아직 많지 않지만 향후 활성화될 경우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주거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원석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마을형 사회적 기업이나 마을기업 같은 것은 주거복지의 지평을 넓힌다는 점에서 좋은 시도"라면서 "사회적 기업이 생산한 제품을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이 공동구매해주는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