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ISTEP, 대응 보고서… 노벨과학상 받으려면…

국가 차원 전담기관 설립<br>기초과학 거점설치등 필요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올해도 노벨상 시상식에 초대 받지 못했다. 반면 일본은 또 2명의 노벨화학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로써 일본은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총 11명으로 늘었다. 미국ㆍ영국ㆍ독일에 이어 네 번째로 많다. 우리나라도 지난 1960년대 이후 정부 주도로 연구개발(R&D)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 산업성장과 경제발전을 이뤄냈지만 노벨과학상에 관한 한 여전히 '주변국'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다양한 원인 분석이 이뤄지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미흡과 역량 부족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노벨과학상 수상자 배출국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이를 위해서는 우선 최근 노벨과학상 수상 트렌드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3일 발간한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들어 노벨과학상을 공동수상하는 사례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최근 30년간 공동수상 비율은 78.9%에 이른다. 특히 물리학상의 공동 수상 비율이 86.7%로 높았다. 공동수상 비율은 1950년대를 기점으로 50%를 상회하기 시작해 2000년대 들어서는 90%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첨단과학의 대형화ㆍ융복합화에 따라 개인 연구의 한계와 연구실패 부담을 최소화하고 연구자들이 보유한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해 집단연구가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상국가로는 미국이 최근 30년간 수상자의 54.5%인 116명을 차지해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일본은 1981년 후쿠이 겐이치가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후 일곱 차례에 걸쳐 총 11명이 노벨과학상을 받았다. 유태인들이 각 분야별 수상자의 20%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두각을 나타내고 호주가 최근 크게 약진한 것은 창의적인 교육전통과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이 뒷받침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 막스플랑크연구회와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CERN),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 등 연구자 중심의 연구소 출신 과학자와 여성 과학자의 수상이 크게 증가한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노벨과학상 수상 대응 방안으로 ▦국가 차원의기초연구 추진 비전 수립 및 전담기관 설립 ▦개방형 혁신 체제 강화와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거점 설치 ▦선진 연구자의 도전적ㆍ창의적 연구지원 강화와 기초연구시스템 선진화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2년째 법 제정이 지연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조속히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