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금감원의 생활 속 금융이야기] (18) 은행의 자산건전성

김재갑 선임조사역

은행 같은 금융사에 대한 기사나 정보를 접하다 보면 자산건전성이란 용어를 많이 보게 됩니다. 그럼 금융사의 자산건전성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표현하자면 말 그대로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얼마나 건전한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은행의 자산은 크게 예치금과 유가증권, 대출채권, 기타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자산들의 건전성을 모두 평가하는 것이 넓은 의미로는 자산건전성 정의에 맞겠지만, 은행의 영업 특성을 감안해 대출채권처럼 신용위험을 가지고 있는 자산에 집중해 건전성을 평가·관리하고 있습니다.


대출채권의 건전성은 평가시점에 부도나 연체로 부실이 발생했는지와 미래 상환시점에 채무자가 정상적으로 상환을 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이런 평가를 통해 각 대출채권을 금융감독기준상 정의된 자산건전성 분류 등급(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특히 향후 상환이 불확실한 고정 이하 등급에 대해서는 ‘부실채권’으로 통칭해 별도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부실채권이 총 대출채권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부실채권비율)을 공시하고 있으며, 이같은 부실채권 비율은 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지난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79%로 미국 3.12%, 일본 2.30% 등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관련기사



부실채권비율과 함께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 지표로는 대손충당금적립비율(coverage ratio)이 있습니다. 이는 은행들이 대출채권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설정한 대손충당금이 부실채권에 대비해서 얼마나 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125%인데, 동 비율이 100%를 초과한다는 것은 은행들이 고정이하 등급으로 평가해 부실채권으로 인식한 대출채권들이 모두 최종 부실화되더라도 추가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고 기존에 적립했던 대손충당금으로 충당하고도 여유분이 남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은행이 부실에 대비한 충분한 체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간략히 살펴본 것과 같이 자산건전성은 은행이 갖고 있는 자산의 현재 상태를 따져보고 위기상황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매우 중요한 평가항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산건전성이 충분히 확보돼야만 은행들은 본연의 업무인 자금중개기능을 충실히 할 수 있으며 실물경제를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과거 외환위기 때와 같이 은행들이 견실한 자산건전성을 유지하지 못하면 공적자금 투입 같은 많은 사회적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에 대한 손실은 다른 경제주체들이 지게 됩니다.

외환위기처럼 우리 실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전까지는 은행의 자산건전성 관리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큰지 쉽게 와 닿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과거 위기시 경험했던 바와 같이 은행 자산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되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너무나 큽니다. 그만큼 자산건전성에 대한 금융감독기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참고로 은행의 자산건전성 관련 통계정보는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fisis.fss.or.kr)을 통해 제공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김재갑 금감원 은행감독국 선임조사역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