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서울 3년간 SSM 신규출점 사실상 '제로'

전통시장 1㎞ 이내 금지에 전체 95% 지역서 매장 못내

SSM보다 작은 슈퍼마켓도 '대기업 딱지'탓 무차별 규제

업종전반 '공동화' 우려 커져

마켓999_1
롯데슈퍼가 운영하는 1~2인가구 겨냥 소형 슈퍼마켓인 '롯데마켓 999' /사진제공=롯데슈퍼

대형슈퍼마켓(SSM)에 대한 규제가 본격화된 지난 2013년 이후 서울 시내의 SSM의 신규 출점이 전체 면적의 95%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실상 '제로'에 가까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의 칼날이 유통 대기업을 정조준하면서 대형 SSM 뿐 아니라 유통 대기업이 운영하는 소형 슈퍼마켓의 출점도 억제돼 업종 전반이 후퇴 위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SM인 이마트 에브리데이의 올해 서울 점포 숫자는 지난해와 동일한 37개에 그쳤다. 올 한해 구리시에 인접한 신내점과 서울 남단 끝 내곡점이 각각 오픈했지만 교대점과 신도림점이 폐점하며 점포 숫자가 늘지 않았다. 지난 3년간 증가한 서울 시내 점포 숫자도 4개에 불과했다. 롯데슈퍼도 올 한해 구리·하남시에 인접한 강동구 고덕동과 관악산 인근인 구로구 신림동 등 서울 외곽 지역에서만 개점했다. GS슈퍼도 광나루, 왕십리 뉴타운, 강서 염창점 등 서울 외곽이나 택지개발지구에서 소폭 출점하는 데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은 법 규정상 면적 대비 95% 가까운 지역에서 출점이 불가능해 실질적으로 신규 출점 자체가 억제된 지역"이라며 "산자락 끝이나 도시 외곽에서 개점하는 데 그치는 등 정상적인 신규 출점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말했다.

서울 내 슈퍼마켓 출점이 사실상 억제되고 있는 것은 전통시장 반경 1㎞ 이내에 SSM 출점을 금지한 법 규제 때문이다. 서울은 구·신도심이 분리되지 않아 해당 규정을 적용할 경우 전체 면적 95% 가량의 지역에서 신규 출점이 불가능하다. 실제 업체 별로 지난 3년간 새로 오픈한 수 개의 매장들은 모두 서울 경계선에 인접한 최외곽이나 북한·봉화·청계·관악산 등 산자락 인근에 해당했다. 유통법 개정 이전인 2008~2010년에는 업체별로 신규 출점이 연간 100여개에 달했지만 현재로서는 상권이 형성되지 못한 신도시 등으로 출점이 국한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SSM은 연면적 990~3,300㎡(300~1,000평)의 대형 슈퍼마켓을 뜻하지만 이보다 작은 슈퍼마켓의 출점도 억제되긴 마찬가지다. 유통산업발전법이 준대규모 점포 뿐 아니라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슈퍼마켓 자체의 출점을 억제하면서 165㎡(50평) 내외의 소형 슈퍼마켓도 늘지 못하고 있다. 롯데슈퍼는 1~2인 가구를 겨냥해 신선식품 등 소포장 제품을 전문 판매하는 '롯데마켓999'를 운영 중이지만 지난 3년 여 동안 점포 수는 100여개에 그치고 있다. 소포장 신선식품 등을 990원, 1,990원, 2,990원 등 소형 묶음 판매하는 50평 내외 소형 매장이지만 동일한 출점 규제를 받아 '1인가구' 특수를 못 살리고 있다.

대기업 슈퍼마켓의 출점이 억제되면서 전체 슈퍼마켓 숫자도 제자리걸음이다. 국내 슈퍼마켓 숫자는 2012년 9,047개에서 2013년 8,865개로 2% 가량 줄었다. 출점이 줄며 업종 전체의 '바잉 파워'가 약해진데다 '대형 트라우마'로 신규 사업자도 찾아보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출점 규제가 5년여 더 연장되면서 '슈퍼마켓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대기업 슈퍼마켓에서 유기농 슈퍼마켓을 지나 지역 생산 제품을 파는 로컬 슈퍼마켓으로 선호도가 넘어간 해외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업종의 진화도 공염불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