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벽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에 대한 방패막이가 되어 내부를 보호한다는 순 기능적 요소도 있지만 인간 사이의 교류나 문화 등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절과 폐쇄의 역기능적 요소가 더욱 강조되기도 한다.예루살렘에 있는 통곡의 벽은 솔로몬 시대의 영광을 대표하는 신전이 붕괴되고 수도가 함락 당함으로써 단절된 유대인의 역사를 의미하는 것이며 흉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중국의 만리장성은 민족 간의 교류와 문화의 흐름을 단절하는 상징이다. 10여 년 전 붕괴되었지만 베를린 장벽은 이념간의 단절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상징물이었다. 이러한 벽을 허무는데는 단순히 역학적으로 필요한 힘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최근 벽이 목격되고 있다. 800선이 무너짐과 동시에 지수 흐름의 단절 과정에서 나타난 갭이 바로 그것인데 이는 펀드멘탈상의 적정 지수와 수급 상 불가피한 현실적인 지수와의 괴리를 의미하고 있다. 과잉 매도에 대한 투자자의 반발로 벽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재현되고 있으나 수급 개선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당분간 쉽게 무너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입력시간 2000/05/02 16:3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