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부터 파업중인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조가 회사측의 최종협상안 수용을 거부했다. 파업사태는 장기화 될 가능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 이용객들의 불편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이미 지난 2주간의 피해만도 1,100억여원에 달한다. 여기다 파업이 계속될 경우 여름 휴가철 최대성수기인 이번 한 주에만도 여객 18만명, 화물 1만5,000톤의 운송차질과 910억원의 피해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그 뿐 아니다. 제주도의 관광업 등 지역경제도 큰 어려움을 겪고있으며 항공운송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ㆍ정밀장비를 비롯한 전자업계 등도 납기차질 우려로 전전긍긍 하고 있다. 자칫하면 우리경제를 힘겹게 끌어가고 있는 수출에도 큰 타격을 줄 가능성마저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노사간에 협상일정 조차 잡지 못하는 등 해결의 실마리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 입장차가 큰데다 협상과정에서 불신과 감정의 골까지 깊이 패여 사태가 더욱 꼬이고 있는 것이다. 노사는 서로가 주장하듯 좀더 전향적인 자세로 나서야 한다. 특히 사측이 일부 양보한 수정안을 제시했던 만큼 노조는 변화된 자세를 보여야 한다.
노조는 13개 요구안이 수용되지 않는 한 파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그런 식으로 상대방의 일방적 양보만을 요구해서는 해결이 어렵다. 게다가 노조의 요구에는 무리한 것도 많다. 안전을 파업명분으로 내세우면서도 조종사의 비행실수에 대한 징계완화 등을 요구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또 자격심의위원회의 노조참여 등은 인사권 침해라는 점에서 문제가 없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사태의 자율적 해결이 끝내 불발되면 공권력 등 타율을 부르게 마련이다.
아시아나는 후발 항공운송업체로서 오랜 어려움을 겪은 끝에 얼마 전부터 겨우 정상경영의 틀을 잡았다.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고 갈 길이 멀다는 뜻이다. 미국의 내로라 하는 거대 항공사들이 무너진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가 노조의 파업투쟁과 무리한 임금인상 등 고비용 구조 때문이었다. 아시아나 노사 모두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