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화당국이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배수진을 쳤다. 인민은행이 지난 2월8일에 이어 2개월도 채 못돼 또다시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든 것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지 못하면 안정적 성장은커녕 사회 안정도 장담하지 못한다는 절박한 인식이 깔려있다. 원자바오(溫家寶)총리는 최근 인플레이션을 호랑이에 비유, “일단 우리에서 빠져나가면 다시 가두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회 안정에도 잠재적 위협이 된다”며 경각심을 높인 바 있다. 중국이 긴축의 고삐를 바짝 죄겠다는 정책 의지는 이미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분명히 드러났다. 원총리는 전인대에서 올해 경제정책 목표를 물가안정에 두겠다고 선언하는 등 고강도 긴축을 예고했다. 관건은 긴축의 속도. 중국 당국은 대내외 환경 변화로 다급해졌다.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5%대 오른 뒤 올 1월과 2월 4.9%로 다소 밀렸지만 3월(4월15일 발표)에 다시 5% 돌파하고 이후에는 6%까지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광범위하게 제기되고 있다. 사상 유례없는 중국 동북 가뭄과 세계적 기상이변으로 곡물가 상승 행진이 멈추지 않는데다 국제 유가 마저 중동 사태로 하루가 달리 치솟는 상황이다. 게다가 골칫거리인 부동산 가격 앙등도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지난달 11일 일본 열도를 강타한 대지진으로 일본의 농수산물 수입 수요가 늘어나 가뜩이나 치솟는 중국 식품가격 상승을 부채질 할 우려도 크다. 중국 당국은 라면과 세제 등 생필품 업체들이 4월 1일부터 가격 인상을 예고하자 전격적인 담합 조사로 인상 방침을 간신히 틀어막았다. AP통신은 경제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 “중국 지도자들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는 동안 너무 늦게 조치를 취했고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는 4%이지만 이 방어선이 무너진 뒤 5%대를 현실적인 방어선으로 삼고 있다는 게 설득력 있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기준 금리 추가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이미 지급준비율은 20%로 올린 만큼 더 이상의 여력도 없고 설령 올린다 해도 긴축의 효과는 낮은 편이다. 중국 통화당국이 상반기 중에 최소한 한 차례 이상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첫 긴축정책으로 선회한 뒤 지금까지 4번에 걸쳐 짝수 달마다 금리 인상을 단행해 벌써부터 6월 인상 설이 제기되고 있다. 위안화 절상속도가 다소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위안화 가치 상승은 수출에 악영향을 주지만 수입 물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고 미국을 비롯한 교역상대국과의 마찰도 줄일 수 있다. 최근 위안화 절상속도가 가팔라지는 것도 오는 14일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재무장관 회담과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위안화 절상 압력을 피하기 위한 선제 조치라는 해석이다. 중국 경제는 9%대 고속 성장이 지속되고 있어 위안화 절상으로 인한 수출 감소를 감당할 수 있다. 이미 중국 상무부는 올해 무역 흑자를 줄이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다만 급격한 금리 인상은 위안화 절상을 전망한 투기세력의 핫머니 유입을 가속화시켜 자산버블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은 중국 당국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