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외채 구조 개선...1999년 이후 최저

한국의 외채 가운데 만기 1년이하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1999년 이후 처음 20%대로 떨어지는 등 외채 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13년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대외채무 잔액은 4,166억달러로 2012년보다 72억달러 늘었다.


하지만 단기외채는 1,128억달러로, 143억달러 줄면서 전체 대외채무 중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1년 사이 31.1%에서 27.1%로 줄었다.

연말 기준으로는 1999년(29.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단기외채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9월 말 51.9%에 달했지만 지난해 6월 말(29.4%) 20%대로 떨어졌다.

관련기사



이정용 한은 국외투자통계팀 과장은 “은행들이 외화차입금을 상환하면서 단기외채는 줄고 외국인 채권 투자의 영향으로 장기외채는 늘었다”고 설명했다.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과 통화당국의 준비자산이 크게 늘면서 대외채권은 1년 사이 653억달러 증가한 6,055억달러를 기록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4,166억달러)를 뺀 순대외채권은 1,889억달러로 같은 기간 581억달러 증가했다.

전체 대외투자 잔액은 9,542억달러로 지난해 964억달러 늘었고, 외국인 투자 잔액도 9,910억달러로 364억달러 증가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