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스카이라이프 "5월부터 3D생중계 시스템 구축"

이몽룡 사장, 개국 8주년 기자간담회


"걸음마 단계인 3D입체영상 사업 분야에서 스카이라이프가 앞장서 가겠습니다." 이몽룡(61) 스카이라이프 사장은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국 8주년 기념기자간담회를 열어 3D입체영상 콘텐츠 사업의 역량 강화 등 올해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아바타로 돌풍을 일으킨 3D영상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이지만 하루 24시간을 채울 만큼 방송 콘텐츠가 풍부하지 못한 게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스카이라이프는 미국의 3얼리티사에서 제작시설과 장비 등을 구입, 5월부터는 본격적인 3D생중계시스템을 구축한다. 스카이라이프는 생방송 중계시스템이 갖춰지는 대로 소싸움ㆍ나비축제 등 지역의 주요 행사와 국내의 수려한 자연 풍광, 그리고 주요 스포츠 중계 등을 3D 입체 영상으로 선보이게 된다. 이 사장은 "3D영상은 아직 표준도 만들어야 하고 화면을 섬세하게 조정해야 하는 등 과제가 남아있지만 시장을 열어가는 역할을 스카이라이프가 맡겠다"면서 "올 하반기면 하루 6~7시간 정도는 새로운 콘텐츠로 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일부 부정적인 시각과 달리 스포츠ㆍ콘서트ㆍ다큐멘터리 등 3D 영상의 수요는 무한하다"면서 "일본ㆍ미국 등에서는 6월 남아공 월드컵도 3D로 방송하는 데 우리도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해외 콘텐츠 기업들과의 제휴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이 사장은 "현재 디즈니ㆍ드림웍스 등 주요 제작사들과 협력해 하반기부터는 안방에서 다양한 3D영화를 볼 수 있는 주문자비디오(DVD)서비스도 시작하게 된다"면서 "장차 24시간 전체를 3D영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안방에서 즐기는 3D방송 시대의 관건은 3DTV 보급에 달려있다고 그는 귀띔한다. 이 사장은 "삼성ㆍLG 등에서 제작되는 HDTV가 3DTV 겸용이 될 것"이라면서"3D전용 TV가 없어도 60Hz가 구현되는 LCD 혹은 LED TV로 3D영상을 볼 수 있는 기술을 현재 개발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면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카이라이프는 3D 콘텐츠 확보와 이용환경 개선 등이 가시화되는 올 하반기에는 3D전문채널 스카이3D(SKY3D)를 유료로 전환할 계획이다. 그는 "콘서트ㆍ골프교실 등 독자적인 프로그램 제작이 안정기에 접어들었을 때 유료화할 것"이라며 "상용화에 앞서 콘텐츠의 양과 질에 대한 책임이 먼저"라고 말했다. 스카이라이프는 3D 콘텐츠 제작에 이어 3스크린(TVㆍPCㆍ모바일)도 올해 구현할 계획이다. 이 사장은 "KT와 공동으로 제공하는 컨버전스 상품인 쿡TV스카이라이프는 광역성에 장점이 있다"며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만큼 올해 가입자를 70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 하반기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그는 "그 동안 스카이라이프를 염려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진주가 흙 속에 묻혀있다가 이제 빛을 발하는 시기"라면서 "지난 2년간 신용등급이 2단계 상향 조정됐으며 2006년부터 당기 흑자를 4년간 연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어 상장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