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베 일본총리 1년만에 사의

경제 불확실성 높아져 '격랑' 예고<br>증시 크게 출렁이고 엔화가치도 떨어져<br>내각 스캔들·테러법 난항에 불명예 퇴진<br>30%로 곤두발질 친 지지율도 결단 재촉



아베 일본총리 1년만에 사의 경제 불확실성 높아져 '격랑' 예고증시 크게 출렁이고 엔화가치도 떨어져내각 스캔들·테러법 난항에 불명예 퇴진30%로 곤두발질 친 지지율도 결단 재촉 김정곤 기자 mckids@sed.co.kr 아베 신조(安倍晋三ㆍ52) 일본 총리가 재임기간 만 1년을 채우지 못하고 불명예 퇴임하게 됨에 따라 향후 일본 정치권과 경제가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아베 총리는 후임 총리가 선출될 때까지 총리직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자민당은 아베 총리의 지시에 따라 오는 25일 유엔 총회에 새 총리가 참석할 수있도록 총재 선거 준비를 서둘고 있다. 후임 총재이자 총리로는 지난달 27일 당정 개편에서 당 사령탑으로 발탁된 아소다로(麻生太郞) 간사장이 가장 유력시되고 있다. 이날 일본 금융시장은 아베 총리의 사퇴 소식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날 일본 증시는 등락을 거듭하며 불안한 흐름을 보였으며 엔화 가치는 하락했다. 이날 3시 현재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ㆍ달러 환율은 113.94엔에 거래됐으며 닛케이255지수는 전일 보다 0.5% 하락한 1만5,797.60포인트에 마감됐다. 전문가들은 아베 총리의 사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미국 발 신용위기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취약해진 상태에서 당분간 정치적인 불확실성이 시장의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의 뒤를 이어 취임한 뒤 헌법개정을 추진하는 등 ‘전후 체제에서의 탈피’를 전면에 내세워왔다. 그러나 참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데다 내각의 자살 및 잇따른 스캔들, 그리고 테러대책법 연장 문제 등으로 야당과 갈등을 빚으면서 결국 취임 1주년을 불과 2주일 남겨놓은 상태에서 불명예 퇴진의 길을 선택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이후에도 사퇴를 거부하며 당정 개편을 통해 부활을 노려왔다. 주변의 사퇴 요구에도 불구하고 총리직 유지를 고수하던 아베 총리가 이날 전격 사임 의사를 밝힌 것은 원만한 국정 수행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당정개편 이후 터져 나온 신임 각료들의 정치자금 논란과 자신이 총리직을 걸고 관철시키겠다고 약속한 테러대책특별조치법 연장이 야당의 거센 반대로 난관에 부닥치며 당 안팎의 사임 요구에 시달려 왔다. 아베 총리는 최근 테러대책법 연장과 관련, 민주당과의 절충을 위해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 대표와의 당 대표회담을 제안했지만 일언지하에 거부당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 이 법의 연장이 불가능해진 것도 아베 총리의 사퇴를 앞당기는데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지난 9일 호주 시드니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테러대책법을 연장하지 못하면 총리직을 사퇴하겠다며 배수진을 쳤다. 그러나 이후 상황이 진전되기는커녕 더욱 악화되면서 더 이상 총리직을 수행하는 것은 자신은 물론 자민당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이다. 자민당은 지난 7월 참의원 선거 참패로 27석을 읽었다. 반면 민주당은 28석을 늘리며 참의원 242석 중 109석을 확보해 제1당으로 올라서며 총리 퇴진은 물론 의회 해산과 조기 선거 실시 등을 주장하며 여당을 압박해 왔다. 여기에 최근 8.27 개각 이후의 당 안팎의 상황도 아베 총리가 더 이상 총리와 자민당 총재라는 자리에 앉아 정국을 이끌 수 없는 상황으로 몰아간 것으로 분석된다. 2기 내각 출범 일주일 만에 엔도 다케히코(遠藤武彦) 전 농수산상이 국고 부정수령 문제로 퇴진한데 이어 다른 각료들도 잇따라 정치자금 관련 논란에 휩싸이면서 당초 그가 밝혔던 개혁이나 인적 쇄신이란 명분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게 됐다. 입력시간 : 2007/09/12 17:08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