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10곳중 6곳 "소비자 불합리 요구 경험"

商議, 300개社 대상 조사…제품사용·AS등 고객불만 체계적 대응 노력도 미흡

“터무니없는 요구지만 회사 이미지 때문에 어쩔 수가 없습니다.” A백화점 고객관리 담당자는 얌체환불족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상습적으로 고가의 옷을 구입해 자랑한 후 반품기간(구입 후 7일) 내에 반품하고 있는 고객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소비자 불만처리 현황과 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 국내 기업 10개사 중 6개사(61.1%)가 소비자들의 악성 클레임이나 불합리한 요구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고객상담 과정에서 경험하는 애로사항으로는 ▦고객의 폭언(64.3%) ▦인터넷과 언론유포 등의 위협(59.6%) ▦법규를 넘어서는 무리한 보상요구(57.5%) ▦사용설명서에 잘 명시된 사항에 대한 상담요구(55.3%) ▦구매와 반품의 상습적 반복(39.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예전에는 그냥 지나치던 제품의 사소한 흠을 이유로 고객으로부터 반품이나 교체를 요구받은 적이 있느냐는 설문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68.6%가 ‘그렇다’고 응답해 소비자 주권의식이 매우 높아졌음을 반영했다. 반면 기업들의 소비자 불만에 대한 체계적이고 능동적인 대응노력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대상 기업 중 고객을 대상으로 제품사용과 AS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46.4%에 불과했다. 특히 기업이 스스로 소비자 불만을 사전 예방하도록 한 소비자불만자율관리프로그램(CCMS)을 도입해 운영 중인 업체는 11.2%에 그쳤다. 고객서비스 관련 조직에 있어서도 26.1%의 기업은 아직도 전담부서 없이 담당자만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AS 관련 지출비용은 선진국 수준인 2.1%로 나타났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기업들도 고객중시경영을 보다 충실하게 실천해야 하겠지만 막무가내식의 소비자 행동도 함께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