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전성시대는 갔나.’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규제와 종합부동산세ㆍ양도소득세 중과세 등으로 중대형 아파트의 인기가 급전직하하고 있다. 서울시내에서 메이저 브랜드를 내세운 아파트조차 중대형 평형은 중소형 아파트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 그럼에도 신규분양 아파트는 40평형대 이상 중대형에 집중되고 있어 자칫 대형 아파트가 단기 공급과잉을 겪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수도권 중대형은 애물단지=GS건설이 최근 서울 은평구 수색동에서 분양한 수색자이 아파트의 경우 서울시내에서는 비인기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중소형 평형은 대부분 1순위에서 청약을 마치는 등 선방한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70~80평형대 대형 아파트는 모두 1순위에서 미달사태를 빚으며 대조를 보였다. 분양성공의 보증수표로 불리는 송도 역시 비슷한 분위기다. 당초 예상대로 전평형이 인천거주 1순위에서 청약을 마쳐 인기가 재확인되긴 했지만 중소형과 대형간 청약경쟁률은 하늘과 땅 차이다. 32평형이 최고 1,621대1로 올 들어 최고 경쟁률을 갈아치웠지만 대형 평형은 대부분 한자릿수 경쟁률에 머무른 것. 일반 매매거래시장 역시 서울 강남권을 벗어나면 중대형 아파트는 수요자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받고 있다. 일산 S공인 관계자는 “그나마 30평형대까지는 가끔 수요자가 나서지만 중대형 아파트는 아예 문의전화조차 없다”며 “일산 전체에서조차 올 들어 거래건수가 손가락에 꼽을 정도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처럼 중대형이 시장에서 외면받고 있지만 분양을 준비 중인 업체들로서는 이렇다 할 대응책을 낼 수 없는 상황이다. A사 관계자는 “회사 내부적으로 설계를 변경해 중소형 위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어 이마저 포기한 상태”라고 말했다. 자칫 시간을 끌다가 9월을 넘길 경우 분양가상한제에 발목을 잡힐 우려 때문이다. ◇6억원에 웃고 우는 주택시장=정부 규제 ‘6억원’을 기준으로 주택은 천당과 지옥을 오간다. 6억원(공시가격 기준) 초과분에 대해서는 재산세 외에 무거운 종부세가 부과된다. 또 6억원(실거래가)이 넘는 주택은 1주택자로 비과세요건을 갖췄더라도 양도소득세를 물게 된다. 여기에 수도권 전역에 걸쳐 지정된 투기지역에서는 6억원 초과 주택에 대해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적용돼 대출마저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고양에서 타운하우스 분양을 준비 중인 중흥건설 관계자는 “고객들은 집값이 주변시세보다 싼지 여부와 함께 DTI 적용 여부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 실수요자들이 일정비율의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할 수밖에 없어 대출한도 제한과 금리는 거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보제공업체 관계자는 “대부분 아파트가 종부세 대상이 되는 강남권은 세금이 거래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며 “하지만 비강남권의 경우 공시가격 6억원 초과 주택은 수요가 살아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