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자본 늘리기' 당국 권고치 못미쳐

자본확충펀드에 의존 가능성

은행권의 자본 확충 수준이 금융당국의 권고 수준보다 훨씬 낮아 자본확충펀드에 의존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된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등 13개 은행은 11월부터 증자 및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총 3조 원의 기본자본을 늘렸지만 이는 금융당국이 제시한 기본자본 확충 목표치(11조원)의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은행들은 지난 9월 말 현재 평균 10.79%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12월 말까지 11~12% 이상으로, 기본자기자본비율은 평균 8.28%에서 9%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은행권은 기본자본비율 및 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려면 추가적인 증자 또는 하이브리드채권 발행에 나서는 한편 주주 배당을 줄일 방침이다. 하이브리드채권은 부채와 자기자본의 성격이 섞인 신종자본증권으로 만기가 30년 이상이다. 상당수 은행들은 이 같은 자본확충 노력을 통해 BIS 자기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을 정부의 권고 수준으로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경기 침체 여파로 기업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는 데다 내년부터 본격적인 기업구조조정에 들어가는 만큼 은행권의 부실자산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부실이 늘어나면 은행권의 BIS 자기자본비율과 기본자기자본비율은 다시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정부가 도입한 자본확충펀드에 의존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된다.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기업과 가계의 부실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본 확충이 불가피하지만 추가적인 증자나 하이브리드채권 발행도 여의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이 연말과 내년 초까지 BIS 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을 권고 수준으로 맞춘 후 계속 이를 유지해야 한다"며 "기업 구조조정과 부실 여신 확대로 재무 건전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