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건·의료 증원 가능 인원 대학에 미리 알려준다

교육부 '대학정원 조정계획'

앞으로 지역별 보건ㆍ의료 관련 학과의 증원 가능 인원을 대학에 미리 알려줘 대학이 이를 바탕으로 증원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8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2007학년도 대학(원)생 정원 조정계획’을 발표하고 각 대학에 통보했다. 계획에 따르면 교육부는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보건ㆍ의료 관련 학과의 지역별 증원 가능 인원을 대학에 미리 통보한 후 대학별 신청을 받아 정원을 조정하게 된다. 종전에는 사전에 대학의 증원 신청을 받고 복지부가 지역별 증원 인원을 확정하면 추후 개별 대학의 증원 인원이 결정됐다. 이에 따라 각 대학들이 증원 가능성을 알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과도하게 보건ㆍ의료학과 증원을 신청하는 사례가 빈발했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그간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취업이 잘 되는 보건ㆍ의료학과 정원을 예측도 못한 채 늘리려다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아 계획을 재수정하는 등 인적ㆍ물적 낭비가 심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전문대학원에 박사과정을 설치할 때 종전에는 일정한 논문발표 실적을 갖춘 전임교원을 확보하도록 했으나 올해부터는 논문이 아닌 특허등록 및 기술이전 실적도 교원 연구업적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한편 교육부는 대학 입학정원을 지속적으로 감축해나가기로 했다. 국립대의 경우 올해까지 7,300명을 감축하는 데 이어 2007~2009학년도에 4,700명을 추가로 감축해야 한다. 사립대는 전임교원 확보율을 재정지원 사업에 반영해 자율적인 정원감축을 유도하기로 했다. 대학원도 충원율이 낮거나 사회인력 수요가 감소한 분야의 정원이 줄고 분야가 유사한 소규모 대학원의 통폐합이 추진된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