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배 두들길 때 협력업체는 눈물 흘렸다

국내 대기업의 수익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협력업체는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쏠림의 심화로 대기업은 생산 효율성이 높아진 반면 중소 협력업체의 경영 환경은 악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와 산업연구원 이항구 선임연구원(박사)이 공동 연구한 ‘제조 협력업체의 경영성과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대기업의 영업이익률은 2008년 이후 증가세를 보인 반면 협력업체들의 수익률은 후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삼성전자(국내)의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5.7%에서 2009년 7.2%, 2010년 11.0%, 2011년 8.1%, 2012년 13.1%, 2013년 13.8%로 높아졌다.

하지만 삼성전자 협력업체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10년 7.2%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2013년에는 4.2%까지 떨어졌다. 삼성전자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현대차 그룹도 계열 부품사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008년 8.2%에서 2013년 9.3%로 높아졌지만 비계열 부품사들은 3.6%에서 3.3%로 줄었다.

관련기사



협력업체의 수익성 저하는 고용과 임금 격차 확대로 나타났다.

실제로 현대차 계열 부품사의 고용은 2008년 1만1,597명에서 2013년 1만6,519명으로 5년간 연평균 7.3% 늘고, 평균 급여는 같은 기간 6,193만원에서 9,006만원으로 연평균 7.8% 올랐다.

반면 비계열 부품사의 고용은 2008년 11만7,994명에서 2013년 13만4,548명으로 연평균 2.7% 늘어나는 데 그쳤으며, 평균 급여도 3,949만원에서 5,290만원으로 연평균 6.0% 올랐다.

그 결과 계열 부품사 대비 비계열 부품사의 평균 임금 수준은 같은 기간 63.8%에서 58.7%로 격차가 커졌다.

대기업과 협력업체간 양극화는 전자, 자동차뿐 아니라 철강, 기계, 조선업 등 다른 주력 제조업종에서도 심화되고 있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한편 이 보고서는 자동차, 전자, 철강, 기계, 조선업 등 국내 5대 제조업종 대표기업 협력업체 1천200여 개사의 경영성과를 분석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