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남산 그린웨이 사업' 출발부터 삐걱

해방촌, 녹지조성 대가로 일부지역 자체개발 요구<br>후암동 "우리도"… 市·주민 협의체 구성불구 진전없어


서울시가 남산과 용산공원 사이의 해방촌(용산 2가동) 일대 주거지역에 대규모 녹지대를 조성하는 '남산 그린웨이 사업'이 사업 초기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해방촌 주민들이 녹지대 조성의 대가로 나머지 해방촌 지역에 대해 자체 개발을 위한 고도지구 해제를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더욱이 해방촌 주민들은 물론 후암동 개발구역마저 해방촌과의 결합개발 대신 자체 개발을 요구하고 나서 사업지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시와 해방촌ㆍ후암동 간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최근 '남산 그린웨이 사업을 위한 협의체'를 만들고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었지만 해방촌 측 대표의 불참으로 협의 개시조차 하지 못했다. 서울시는 해방촌 일부 지역에 폭 100~900m, 길이 700m 규모의 녹지대를 만들어 남산과 용산 공원을 연결할 계획이다. 녹지대로 조성되는 부지의 주민들은 후암동 특별계획구역으로 편입시키고 대신 후암동구역에 용적률을 높여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해방촌 주민들이 녹지대 조성의 대가로 해방촌 나머지 지역의 자체 개발을 요구하면서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해방촌 주민 대표인 박길준 용산구의회 부의장은 "해방촌의 일부만 녹지대로 조성한다면 나머지 해방촌에 대해서라도 고도지구 해제를 통해 자체 개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며 "녹지대로 편입되지 않는 나머지 해방촌 주민들은 녹지대가 조성된 후 별도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아 주거 여건이 오히려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해방촌 일대에는 남산 경관을 위해 현재 고도지구로 지정돼 있어 최고 3~4층 높이의 건축만 가능하다. 후암동 특별계획구역 내 주민들 역시 해방촌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는 만큼 후암동만이라도 자체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후암동 특별계획구역 추진위원장은 "녹지대로 편입된 해방촌 주민을 후암동 조합원으로 받아 들일 수 있지만 해방촌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는 만큼 후암동만이라도 자체 개발을 통해 주거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해방촌과 후암동의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서울시로서는 아직 이렇다 할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남산 경관을 위해 남산 외인 아파트마저 철거한 상황에서 해방촌의 고도지구를 해제할 수 없는 없다"며 "현재로서는 녹지축 조성과 후암동 개발 등을 오는 2016년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지만 대안을 찾지 못하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