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백화점 여름세일 매출부진 여전

후반부 폭우도 악영향

이달 들어 지난 18일까지 이어진 백화점 여름 정기세일 실적을 최종 집계한 결과 매출 위축세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근에 지난해 강수량의 3배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며 실적 부진을 부채질하는 등 날씨마저 돕지 않아 대규모 할인공세도 빛을 바랬다. 품목별로는 명품과 남성정장, 전자제품 등의 신장세가 컸다. 19일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여름 세일(4~20일)과 기존 20점의 일평균 매출신장율을 조사한 결과 올 여름의 신장 폭이 0.6%에 불과했다고 최종 집계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세일 중반에 가전제품 행사 등의 영향으로 5~6% 신장하기도 했지만 후반부 폭우로 인해 방문 고객이 줄어들면서 소폭 신장으로 마감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본점기준)로는 아테네올림픽을 기념한 PDPㆍ디지털TV 할인판매전에 힘입어 전자제품(26%)의 신장세가 유달리 컸고 보석류 18%, 명품 13%, 가구 10% 등도 좋은 반응을 보였다. 신사정장(4.6%)과 여성 영캐주얼(3%)도 선방했지만 숙녀정장(-7.1%), 일반스포츠(-7.6%), 등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현대백화점 기존 16개점의 여름 정기세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가량 역신장했다. 명품 매출이 10.7%가량 늘었고 줄곧 역신장을 하던 남성정장 매출도 3.2% 증가했으며 남성캐릭터 캐주얼도 13.6% 신장했다. 반면, 여성정장(-5.5%), 잡화류(-3.5%), 아동스포츠(-3.3%), 가정용품(-7.5%) 등은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세계 백화점 7개점은 일 평균 2.2%의 신장률을 기록하며 올들어 실시된 세 번의 세일 중 첫 플러스 신장세를 나타냈다. 100여일 전 매장을 40% 가량 확장한 강남점이 20%가 넘는 신장세를 기록, 매출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수입명품(30.1%), 여성복(6.9%), 남성복(5.8%), 스포츠(3.1%) 등이 신장했고 홈패션, 가전 등은 9% 가량 줄어들었다. 청바지 관련 의류 매출이 23%나 늘어 의류 분야 중 가장 높은 신장율을 보였고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영향으로 아웃도어의류, 골프의류, 스포츠의류 등도 9%대씩 신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