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산업
산업일반
왜 사람들은 피를 보고 기절을 할까?
입력2008.02.27 09:17:29
수정
2008.02.27 09:17:29
공포 상황 탈피 위한 '과잉 혈관미주신경 반응'이 원인
| 교통사고나 큰 부상을 당해 피를 흘리는 사람을 눈앞에서 보는 것은 누구에게나 고통스런 일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이 같은 상황에서도 비교적 평정심을 유지하는데 비해 어떤 사람은 큰 충격을 받아 기절을 한다. |
|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교통사고나 큰 부상을 당해 피를 흘리는 사람을 눈앞에서 보는 것은 누구에게나 고통스런 일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이 같은 상황에서도 비교적 평정심을 유지하는데 비해 어떤 사람은 큰 충격을 받아 기절을 한다.
다량의 피를 보는 순간 나타나는 이 같은 반응의 차이는 단순히 배짱의 차이일까. 그렇지 않다.
영국 런던 소재 정신의학연구소(IPL)의 아이작 마크 박사는 “일부 사람들에게는 피를 보는 경험이 단순한 거북스러움을 넘어 심각한 생리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
그가 수행한 정의적 연구(definitive study) 결과 어린이 중 최대 30% 정도가 피를 보고 커다란 두려움을 느꼈는데, 어른이 되서도 이 증상은 거의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로 이런 사람들은 헌혈을 하는 도중에 자신의 피를 보고 기절을 하는 등 정상적인 성인들과 달리 피에 대해 극심한 과민반응이 표출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아이작 박사에 따르면 이처럼 피를 보면 정신을 잃는 현상은 공포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진화론적 반사증상의 일종인 ‘과잉 혈관미주신경 반응(OVR;overactive vasovagal response)’이 그 원인이다.
이 OVR이 발동되면 가장 먼저 심장박동을 늦춰 혈압을 떨어뜨린다.
이렇게 원활한 혈액순환이 방해를 받으면 두뇌로 공급되는 혈액에도 충분한 산소가 함유되지 않아 점차 머리가 멍해지며 의식을 잃게 된다는 것.
사실 이는 원시시대에 생명을 위협하는 포식자가 출현해 죽은 척을 해야만 할 때 아주 유용했던 생존 메커니즘이다.
피를 흘리는 당사자가 자기 자신일 경우에도 종종 OVR로 초래된 낮은 혈압이 과다출혈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OVR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그저 성가시고 귀찮은 과민반응일 뿐이다.
의식이 깨어있는 것이 훨씬 큰 도움이 되는 응급환자들에게는 자칫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OVR 보유자들은 어떻게 해야 이 같은 과민반응을 극복할 수 있을까.
미국 뉴욕에 위치한 웨일 코넬 메디컬센터의 정신과 의사인 앨런 마네비츠 박사는 평상시에 공포영화나 메디컬드라마 등을 통해 가능한 자주 피를 접해보는 것이 좋다고 권유한다.
특정 사물에 대한 공포심을 극복하는 최상의 방법이 그 대상을 자주 접하는 것이 듯 피에 대한 과민방응 또한 피와의 직?간접적 접촉 빈도를 높이는 것만큼 효과적인 것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매일같이 피 흘리는 환자들과 맞닥뜨려야 하는 외과 의사와 간호사들이 피를 봐도 아무렇지 않은 것과 동일한 맥락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