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원자력 비중 60%이상 높아진다"

4세대 원자력·핵융합, 에너지 주류로 부상<br>원자력 전력생산 비중 현재 40%서 30∼35년후 60%이상

원자력의 전력생산 비중이 현재 40% 가량에서 앞으로 30∼35년후에는 60%이상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11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현재 오는 2020년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제4세대원자력시스템(Gen-Ⅳ)에 이어 오는 2035년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핵융합에너지' 등 원자력의 에너지 공급비중이 급격히 높아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과기부 김영식 기초연구국장은 "현재의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에너지원이 개발되지 않는다면 원자력의 에너지 공급비중은 높아질 수 밖에 없다"면서 "이런 가정하에 앞으로 30∼35년후에는 4세대 원자력과 핵융합 에너지가 에너지 공급의 양대 축을형성하면서 전체 전력생산 비중의 6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미래의 원자로'로 불리는 제4세대 원자력 시스템은 현재의 중수로 또는 경수로의 단점을 보완해 지속성과 안전성, 신뢰성, 경제성, 핵확산 저항성 등 4가지 특성을 갖춘 새로운 원자로를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프랑스 등 원자력 분야의 선진 11개국은 오는 2020년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제4세대 원자력 시스템의 공동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달 28일 국제 핵융합실험로(ITER) 건설 부지가 프랑스 카다라시로 확정됨에따라 세계 각국의 핵융합 에너지 개발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핵융합 에너지는 수소를 이용해 만든 `인공태양'으로부터 생산하는 무한ㆍ청정ㆍ대용량 미래 에너지로 이미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들은 2035년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연구개발에 막대한 재원을 투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1995년부터 `국가 핵융합 연구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제사회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제 핵융합 실험로(ITER)' 건설 프로젝트에 미국, 일본, EU, 중국,러시아와 함께 대등한 조건으로 참여하고 있다. 과기부는 핵융합 에너지의 실용화를 위해 `국가 핵융합 에너지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이를 위해 지난 8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합회 회관에서 핵융합 에너지개발에 대한 산ㆍ학ㆍ연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은 앞으로 에너지의 흐름이 원자력과 핵융합 에너지로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하고 이를 위해 국가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ITER 프로젝트 등 핵융합 선진국과의 공동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핵융합 발전의 원천기술을 습득하고 2040년께 우리기술로 상용 핵융합발전소를건설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과기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나타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핵융합 관련 핵심 기술개발 로드맵, 인프라 구축, 기술 표준화 등을 담은 `국가 핵융합 에너지 개발 기본계획'의 방향을 설정할 예정이다. 국가 핵융합 에너지 기본계획은 대통령이 위원장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된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