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수침체 여파, 개인도 해외투자로 몰려

투자액 올들어 2배 가까이 급증‥월별 해외투자 비중 첫 10% 돌파

기업들의 해외진출로 산업 공동화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내수침체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개인과 개인사업자들의 해외 직접투자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5월말까지 개인과 개인사업자들의 해외 직접투자는 624건에 1억5천3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353건, 7천900만달러에비해 건수로는 76.8%, 금액으로는 93.7%가 각각 증가했다. 또 지난 5월 한달간 이뤄진 전체 해외 직접투자 2억5천400만달러 가운데 개인과개인사업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11.1%, 2천800만달러에 달해 월간 기준으로 사상처음 10%를 넘어섰다. 뿐만 아니라 올들어 지난 5월말까지의 전체 해외 직접투자 16억5천500만달러 가운데 개인과 개인사업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9.3%로 10%에 육박하고 있다. 해외 직접투자에서 개인과 개인사업자들의 비중은 지난 2002년 4.8%, 2003년 7.0% 등으로 꾸준하게 높아지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개인과 개인사업자들의 해외 직접투자가 많이 이뤄지는 업종은 소규모 제조업과 부동산서비스업,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등이고 투자지역은 중국 등아시아의 비중이 높다고 설명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개인과 개인사업자들의 해외투자 확대는 국내 내수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라며 "침체된 내수경기가 풀리지 않는 이상기업에 이어 개인들의 해외 직접투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이 기간에 소기업의 해외 직접투자는 7억2천200만달러로 작년 동기의 4억4천600만달러보다 61.9%가 늘어나 중소기업의 해외진출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대기업의 해외 직접투자는 7억8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7억달러에비해 11.4%가 증가하는데 그쳤다. 한편 올들어 지난 5월까지 전체 해외 직접투자는 작년 동기의 12억2천500만달러보다 35.1%가 확대됐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