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로 예정된 신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도입 신청 마감시한을 앞두고 주요 은행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신 BIS 자기자본비율(바젤 2)이 시행되면 가계대출이 많은 국민은행의 경우 이 비율이 올라가는 반면 우리 등 상당수 은행들은 1~2%포인트 정도 BIS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현재 11%대 전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라 큰 타격은 없지만 BIS비율이 떨어지면 자산운용에도 그만큼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은행 자기자본을 위험 가중자산으로 나눈 BIS 자기자본비율은 대표적인 은행 건전성 지표로 그 수치가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튼튼하다는 의미다. 신 BIS는 기존 BIS비율과 달리 기업당좌 대출 한도 전체를 위험가중자산으로 잡고 은행 내부규정 준수 여부 등 운영리스크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은행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BIS 비율이 1~2%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신 BIS 비율을 계산할 때도 후진적인 표준법을 택하느냐, 아니면 선진화한 기본(내부등급)법을 취하느냐에 따라 수치가 달라진다. 국민은행은 신 BIS가 가계 대출에 대한 위험자산 가중치를 기존보다 적게 부여하기 때문에 BIS 비율이 소폭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기본법을 택하기로 내부 확정하고 금융감독당국에 6월 말까지 신청을 마칠 계획이다. 기본법은 기업 부도율 등을 외부신용평가기관이 정한 기준이 아니라 내부 자체적으로 평가해 위험가중자산을 계산하는 것으로 그만큼 부실 자산 평가능력을 갖추고 있을 때 가능한 방법이다. 바젤2 시행에 대해 자체 부실평가 시스템을 갖췄다고 판단한 산업ㆍ기업ㆍ외환은행도 기본법을 도입하기로 하고 마감시한인 6월 말까지 당국에 신청서류를 제출할 계획이다. 반면 우리ㆍ신한ㆍ하나은행은 아직 기본법을 택하기에는 내부 부실 기업 데이터 등이 부족하다고 보고 표준법을 택하기로 했다. 표준법은 위험가중자산을 산정할 때 기본이 되는 부도율을 자체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기관이 정한 기준에 따라 계산하는 방법이다. 부실을 자체적으로 평가하는 기본법과 달리 표준법은 외부에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위험가중자산을 계산하기 때문에 BIS 비율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신 BIS 적용시 실제 대출이 이뤄지지 않아도 당좌대출 한도액이 전부 대출된 것으로 잡히는 등 위험가중자산이 많아져 BIS 비율이 1~1.5%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