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득ㆍ학력차로 인한 건강 불평등 심화

소득ㆍ학력 등 사회경제적 요소가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보건사회연구원 신호성ㆍ김동진 연구원이 한국예방의학회지(5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소득ㆍ학력 등 사회경제적 요소가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회피가능 건강불평등지수)가 1998년 0.0659에서 2001년 0.117, 2005년 0.1398로 커졌다. 특히 건강 불평등의 직접적 요인 가운데 30%가 소득격차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보다는 여성의 건강 수준이 낮았고, 지역적으로는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단체일수록 건강불평등지수가 높았다. 신ㆍ김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유럽 국가에 비해 사회경제적 요인에 기인한 건강 불평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를 해소하려면 전국 및 지역 단위의 건강 형평성 모니터링, 사회계층에 따라 특화된 건강증진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