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정일 사후, 후계 시나리오 가늠할 수 없어"

정부 "김위원장 방중 실현가능성 높아"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가 18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시나리오에 대해 “김정은이 후계를 잇든, 쿠데타가 일어나든 짜인 시나리오 대로 움직일 확률은 절반 이하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예견할 수는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김 위원장의 3월 말 방중설과 관련, “중국 측에서 (김 위원장이) 다녀간 뒤에 이야기할 가능성이 높다”며 “북한 사정이 어려워 방중 실현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중국은 6자회담을 재개해야 할 입장”이라며 “여러 변수가 있겠지만 중국에서도 김 위원장이 6자든, 무엇이든 가지고 오기를 바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전망의 경우 “북한의 내부 사정이 복잡한 것도 (복귀 지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듯하다”며 “내부 사정이 안정됐다면 의사결정이 빨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대북 원조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인도적 차원이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6자회담에 나오라는 조건을 두고 경제적 지원을 하면 충분히 가능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이외에 이 당국자는 남북통일과 관련, “정부와 기업ㆍ국민 각각이 상황에 대응할 체력을 비축해야 한다”며 독일 통일의 예를 들었다. 독일이 사전에 세워놓은 지침과는 다르게 통일이 흡수 형태로 이뤄졌다는 것이다.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시 주변국과의 공조에 대해서는 “한중 간의 신뢰가 우선이다”면서도 “한미ㆍ한일 간 공조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유명환 외교부 장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베이징 댜오위타이(釣漁臺)에서 한ㆍ중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당사국의 외교적 노력이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논의로 이어지도록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뜻을 모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