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자현미경 안에서도 나노재료 조작·분석 가능"

성균관대 이영희 교수팀, NRL연구성과 발표

전자현미경안에서 극미세 나노재료를 관찰, 조작하면서 특성까지 분석하는 첨단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나노 재료연구에 일대 진전이 이뤄지게 됐다. 성균관대 이영희 교수팀은 과학기술부가 15일부터 사흘간 서울과 대전 등 5개도시에서 개최하는 `2005년 국가지정연구실(NRL)사업' 연구성과 발표회에서 이를 공개한다고 과기부가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머리카락 두께의 약 1천분의 1에 불과한 미세 나노재료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돼 반도체와 복합체, 디스플레이,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재료 활용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팀은 나노의 효율적인 조작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현미경 안에 매우 작은 나노조작장치를 설치, 나노재료를 움직이거나 조작하고, 소자를 제작하는동시에 소자특성까지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장치는 나노 크기의 물체를 부착할 수 있는 탐침을 붙인 2개의`나노 팔'로 나노재료를 고정, 1나노미터의 정밀도로 3차원 방향으로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탐침 끝에 탄소나노튜브를 부착해 각종 나노재료를 조작하면서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 전자빔과 전류 등을 이용해 나노재료의 접합을 제어해 소자의 특성을 분석할수 있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이 장치는 특히 나노소자가 공기중에 노출돼 특성이 변하는 단점도 방지할 수있는 데다 소자 제작을 위해 특별한 반도체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국내외 나노재료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과기부는 보고 있다. 이 교수는 "이번 개발로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재료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소자를 제작하고 특성을 분석할 수 있어 앞으로 나노재료 및 소자의 기초연구에 큰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