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산업銀 가치 얼마?" 논란 확산

우리금융 "정책금융등 빼면 2兆원 안팎" 추산에<br>산업銀 "민영화 프리미엄등 감안땐 최소20兆" 반박


"산업銀 가치 얼마?" 논란 확산 우리금융 "정책금융등 빼면 2兆원 안팎" 추산에산업銀 "민영화 프리미엄등 감안땐 최소20兆" 반박 이병관 기자 comeon@sed.co.kr 정부가 산업은행 민영화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산업은행의 기업가치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박병원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최근 "8조원을 들여 산업은행ㆍ기업은행 및 대우증권을 인수해 메가뱅크(초대형 은행)를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박 회장이 제시한 가격대로라면 이미 상장돼 증시에서 가격이 형성된 기업은행ㆍ대우증권과 함께 산은캐피탈 등 산업은행의 비상장 자회사 가치를 빼고 나면 산업은행의 기업가치는 2조원대 안팎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반면 산업은행 측은 "순자산가치, 민영화 과정에서의 프리미엄 등을 감안하면 기업가치가 20조원은 될 것"이라며 "박 회장의 제안은 합리적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정책금융 등을 빼면 기업가치는 2조원 안팎=박 회장이 제시한 인수가격은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 분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말 앞으로의 중장기 경영전략을 맥킨지에 의뢰했고, 이 과정에서 맥킨지가 부수적으로 우리금융의 인수전략을 조언했다. 맥킨지는 우리금융이 산업은행 IB 부문과 대우증권ㆍ기업은행을 인수할 경우 자산규모가 500조원이 넘는 글로벌 뱅크로 거듭날 수 있고 인수비용은 7조~8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은 이를 바탕으로 올 초부터 메가뱅크론을 제시했다. 박 회장이 제시한 인수가격(8조원)에서 ▦증시에 상장된 기업은행의 정부 지분(3조9,029억원)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증권 지분(1조7,237억원) ▦산은캐피탈 등 비상장 자회사 가치 등을 빼고 나면 2조원가량 남게 된다. 맥킨지는 민영화로 정부 보증에 따른 저리 자금조달 능력 등이 사라지는 것을 감안할 때 순수한 산은 IB 부문의 가격은 자산수익률ㆍ영업이익 등을 감안할 때 2조원대에 달한다고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산업은행의 순자산가치 18조원 가운데 상당 부분이 대우조선해양ㆍ현대건설 주식 등 매각 프리미엄과 관계없는 투자유가증권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 가치는 떨어진다"고 말했다. ◇산은, "보고서의 전제조건 자체가 말도 안돼"=산업은행은 맥킨지 보고서가 전제로 삼은 '산은 IB 부문의 분리' 자체가 허구라고 반박한다. 산업은행의 정책금융 부문을 따로 떼어낸 후 나머지 가치를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語不成說)'이라는 주장이다.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이미 정부에서 돈을 받는 '정책금융'에서 졸업한 지 오래고 상업적 베이스로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순자산가치 18조6,000억원(2007년 말 현재 기준)에다 민영화 과정에서의 본질가치 및 프리미엄 상승을 감안할 때 40조원까지 가격이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익가치는 차치하고 산업은행의 현재 자산수익배율(PBR)을 2배로만 치더라도 40조원에 육박하는 수치가 나온다는 주장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민영화 과정의 프리미엄, 지주회사 전환 등에 따른 가치 증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