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포스트 G20, 국내외 경제 어디로] 위안화 향방은…

'환율전쟁' 주도권 中으로 무게 이동 "자주·점진적으로 年 5% 절상 예상"<br>'환율 3원칙' 국제사회서 공감 얻어내<br>내년 1월 후진타오 방미 앞두고<br>"자신감 갖고 美에 절상노력 보여줄것"


주요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이후 중국 위안화 향방은 어떻게 될 것인가. 국제무대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위안화 절상 압박이 공감을 얻지 못한 반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설파한 미국에 대한 양적완화 문제점 등이 회원국의 설득력을 얻으면서 환율전쟁의 주도권이 중국으로 넘어가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G20 회의 직전까지만 해도 미국은 글로벌 무역불균형과 위안화 저평가 문제를 연계시키는 것은 물론 중국의 희토류 수출금지까지 이슈화하며 압박공세 수위를 높였다. 하지만 6,000억달러의 제2차 양적완화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 역풍을 맞아 미국은 상당 부분 국제사회의 신뢰감을 상실했다. 양평섭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베이징사무소 소장은 "이번 G20 회의에서 중국은 미국의 위안화 절상 공세를 잠재우고 자주성ㆍ점진성ㆍ통제가능성이라는 환율 3원칙을 국제사회에서 재확인 받는 성과를 이뤘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좀 더 자신감을 갖고 위안화 환율정책을 펼 수 있는 국내외적 환경이 조성됐다는 얘기다. 물론 미국 정부와 의회의 위안화 절상압박이 앞으로도 계속되겠지만 예전처럼 유럽연합 등 다른 주요 선진국들이 가세하는 수준의 국제사회의 공세는 펼쳐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G20 차기 의장국인 프랑스가 내년 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위안화 저평가 등 민감한 문제보다는 보다 큰 그림의 무역불균형 해소, 국제금융시장 개혁 방안 등에 초점을 맞추는 등 국제사회의 환경이 변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환율절상을 압박할 카드가 없지는 않지만 이미 무뎌졌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당장 재무부는 G20 서울 정상회의 이후 의회에 제출하기로 한 재무부 환율보고서에서 중국에 환율조작에 대한 면죄부를 씌워줄 것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또 하원을 통과한 대중국환율보복법안 역시 11ㆍ2 중간선거 이후 미 의회 지형 변화로 상원에서 처리할 가능성은 희박한 편이다. 따라서 G20 서울 정상회의를 계기로 휴전 상태인 환율전쟁의 양상은 중국이 얼마나 미국 측에 성의를 보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주희곤 우리투자증권 베이징사무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추가로 0.5%가 상승한 후 내년부터 점진적으로 절상에 나서며 연간 5% 안팎의 절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G20 서울 회의 직전 한 달간 달러화 대비 1%가량 올렸던 것만큼 가파른 절상은 아니겠지만 수출에서 내수 주도로의 경제성장 전환 방침에 맞춰 위안화를 절상시켜나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점진적이고 통제 가능한 절상이라는 원칙 아래 지난 2005년 당시와 같은 꾸준한 절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하고 있다. 중국은 2005년 고정환율제에서 관리변동환율제로의 환율개혁을 선언한 후 3년간 점진적으로 위안화를 21% 절상시켰다. 일부 전문가들은 그동안 중국이 국제사회의 압박에 못 이겨 절상에 나서는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오히려 위안화 정책에 자유롭지 못했다는 시각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G20 회의를 계기로 국내외적으로 위안화 정책의 입지가 커진 만큼 오히려 좀 더 자율적으로 위안화를 정해진 타임 테이블에 따라 절상시킬 수 있는 여유가 확보됐다는 역설적 분석이다. 단기적으로는 내년 1월 후 주석의 방미를 앞두고 미국에 절상 노력을 보여주기 위해 다시 한번 위안화 가치를 크게 높일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