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디스커버리호 발사 성공

단열재 균열 발견 등 안전우려 속 발사 강행… 12일간 임무 수행후 귀환 예정

美, 디스커버리호 발사 성공 단열재 균열 발견 등 안전우려 속 발사 강행… 12일간 임무 수행후 귀환 예정 관련기사 • • "디스커버리호서 파편 최대 6개 떨어져" 기상 악화로 두 차례 발사가 연기되고 발사 하루 전날 연료탱크 외부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던 미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가 4일 오후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230번째 미국 독립기념일인 이날 오후 2시38분 플로리다주 케이프 캐너베럴 기지에서 스티븐 린드세이 팀장을 비롯해 7명의 승무원(여성 2명)을 태운 디스커버리호를 발사했다. 디스커버리호는 발사 전날인 3일 최종 점검도중 연료탱크 외부 단열재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 발견돼 발사시 안전문제에 대한 우려를 낳았으나 NASA 기술진들이 집중적인 분석과 토론을 통해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결론짓고 발사를 강행했다. 이로써 미국은 지난 2003년 1월 콜럼비아호 참사 이후 작년 8월에 이어 두번째로 디스커버리호 발사에 성공했다. 안전문제에 대한 많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디스커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됨에 따라 미국의 우주개발사업은 당초 계획대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디스커버리호는 앞으로 12일간 우주궤도를 돌며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국제우주정거장에 건설용 설비를 전달하고 유럽우주기구(ESA) 소속 우주비행사를 내려놓는 등 주어진 임무를 수행한 뒤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NASA는 디스커버리호가 이번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칠 경우 오는 2010년까지 12번 정도 추가로 우주비행에 나선 뒤 은퇴시킬 계획이다. 이후 미국은 우주왕복선 프로젝트 대신 과거에 새턴 로켓에 아폴로 우주선을 실어 달에 보냈던 것처럼 오는 2018년까지 `에어리스'로 명명된 우주탐사용 로켓을 개발하고 이에 우주탐사선을 실어 달과 화성에 보낸다는 계획이다. NASA는 당초 1일 오후 디스커버리호를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기상악화로 2일로 1차 연기했다가 또다시 4일로 발사를 연기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입력시간 : 2006/07/05 05:0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