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10월 1일] 세종시, 어떻게?

세종시 수정추진 필요성을 제기한 전 서울대 총장이었던 정운찬 총리가 험난한 인사청문회를 마치고 대통령 임명장을 받았다. 하지만 정 총리가 향후 세종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 궁금증은 그대로다. 정 총리는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세종시를 과천 모델(행정중심)로 해야 할지 아니면 송도 모델(비즈니스 중심)로 개발해야 할지 세심하고 넓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세종시 수정 추진 소신에 변함이 없다며 장기적 관점에서 효율을 고려한다면 좀 더 의논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정 총리는 행정효율성을 고려할 경우 세종시를 행정중심도시로 만드는 것이 맞지 않다는 입장이다. 이는 세종시 원안 추진이 당론임을 누누이 강조하면서도 세종시에 대해 암묵적으로 반대의 뜻을 지니고 있는 여당 다수와 집권세력의 속내와 동일한 시각임에 틀림없다. 집권세력의 세종시 수정 시도에 자유선진당과 민주당 등 야당은 물론 충청 지역 시민사회단체, 나아가 균형발전정책의 지속적 추진을 요구하는 여타 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국민을 상대로 거짓을 얘기하고 사기까지 치겠다는 것이냐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세종시로 가장 크게 피해를 보고 있는 사람들이 세종시 건설로 고향을 떠나 있거나 세종시 인근 지역민들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고통이 더 커지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이들의 고통을 하루빨리 해결해줄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제는 세종시 건설 논란이 정치적 이해다툼의 영역에서 벗어나야 한다. 정치 때문에 오늘의 세종시 사태가 야기됐다는 점을 인식해 다시는 정치가 세종시 문제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세종시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가, 그리고 지역발전과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등에 대해 차분하게 논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가 충청 지역민에게 솔직해야 한다. 충청도 출신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는 정 총리가 충청 지역발전, 나아가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세종시가 탄생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해결책을 찾아주기 바란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