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29일] 신종플루 백신접종 대책에서 유의할 점

국내에서 세번째 신종플루 사망자가 나오고 감염속도도 빨라지자 정부가 연내 1,000만명에게 백신접종을 실시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의 가상 시나리오에 따르면 최악의 경우 대유행으로 2만명까지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 백신 생산이 다소 늦어졌지만 해외 공급으로 접종인원을 늘리고 시기도 앞당기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백신 접종에 앞서 보건당국이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먼저 현재 생산되고 있는 백신의 안전검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 영국 의료진 가운데 60%가 백신 접종을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온 것은 아직도 안전성에 대한 확신이 없다는 반증이다. 과거 미국의 돼지인플루엔자 사례처럼 신종플루 사망자보다 백신접종으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이 나오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다음으로 접종 우선순위도 명확하게 정해야 혼란을 줄일 수 있다. 의료ㆍ방역요원, 임산부ㆍ영유아 등의 순으로 접종을 실시한다는 방침은 나왔지만 나머지 질병취약 계층에 대해서는 아직 우선순위를 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감염추세에 대한 역학조사를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백신 생산이 지연되는 것은 범정부 차원의 지원 시스템이 부족한 데도 한 원인이 있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최소한 반년 전부터 항생제를 쓰지 않은 청정계란을 확보해야 하고 겨울이 지나면 백신을 모두 폐기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정부의 간접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다. 대유행을 막으려면 진성환자에게 신속히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것도 중요하다. 타미플루 등은 예방효과가 없는 치료제이지만 바이러스의 활동성을 억제해 전염방지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동절기를 지내는 동안 남반구에서는 아르헨티나의 신종플루 치사율이 호주의 10배나 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피해 정도에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정부는 28일 특정질병과 관련해 처음으로 범정부 차원의 합동대책본부를 구성했다. 감염자 수가 급증하기 전에 국가전염병재난단계를 상향 조정하고 검사체계와 격리치료를 강화하는 한편 안전성이 확보된 백신을 제때 접종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