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류길재 "北, 우리 신호 못받으면 강인하게 대처"

"격에 집착 안해…어떤 형태로든 회담 열 수 있어"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북한에 대해) 도리와 최선을 다했음에도 북한이 우리의 신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면 강인하게 대처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류 장관은 지난 28일 여수에서 가진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남북관계와 관련, "'도리와 배짱'을 견지해나가는 것이 신뢰를 쌓는 데 중요한 덕목"이라고 우리 정부의 일관된 자세를 통한 신뢰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류 장관은 "북한도 우리 정부가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풀겠다. 북한을 우리 마음대로 끌고 가려는 대상으로만 삼지 않았다'는 점을 평가했을 것"이라며 "조금 더디게 보일지는 모르지만 '한국 정부는 예측 가능하다'고 (북한이 판단)한다면 머지않아 남북관계가 다른 모습으로 드러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최근 추진된 남북당국회담이 대표단의 '격' 문제로 무산된 것과 관련, "격이나 급에 집착해서 회담에 임했던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당연히 어떤 형태로든 간에 회담을 통해서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지 누가 나와서 어떤 급이 맞는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면서 "어떤 형태로든 간에 회담을 열 수 있다"고 신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회담을 통해서,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풀어야겠다는 입장은 견지하고 있다"면서 "인도적 지원이나 교류는 가급적이면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서는 "빨리 정상화시켜야겠다는 즉자적인 대응보다는 조금 더 멀리 내다보고 이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언급, 개성공단 정상화에 앞선 근본적인 재발방지책 마련이 중요함을 거듭 시사했다.

류 장관은 "우리가 할 도리는 해야 하지만 북한도 할 도리는 해야 한다"면서 "그것이 이뤄지지 않으면 앞으로 개성공단이 설령 재가동된다고 하더라도 그 운명은 뻔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그는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의) 대북정책이 획기적으로 변화하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서 점점 힘을 잃는 '통일'이란 담론을 되살려야 한다"며 "지금까지는 주로 정치·군사·경제적으로 접근했지만, 이제는 문화적 영역에서 통일의 담론과 내용물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교수 출신의 류 장관은 대북 주무부처의 수장으로 보낸 4개월여 동안의 소회를 '괴로움·그리움·외로움'으로 표현하면서 중책을 맡은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