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정부"내년 16만개 일자리 창출"

姜재정 "이달도 10억弗이상 경상흑자 가능"

빠르게 진행되는 실물경제 침체에 대응해 정부가 내년 중 16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28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열린 ‘제14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미래 첨단산업과 에너지 산업 분야의 일자리창출 대책, 여성고용촉진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지식경제부는 미래 첨단산업에서 5만8,000개, 에너지 산업에서 1만2,000개 등 총 1만8,000개의 일자리 창출계획을 보고했다. 정부는 지경부 대책을 포함, 지금까지 부처별로 마련한 계획과 앞으로 추진될 대책까지 감안하면 6개 부처에서 총 16만개의 일자리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까지 마련된 부처별 일자리창출 계획은 ▦환경부 2만8,000개 ▦보건복지가족부 1만4,000개 ▦국토해양부 5만개 ▦문화체육관광부 1만6,000개 등 12만6,000개이다. 다음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 등이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회의를 주재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례 없는 위기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 예상되므로 이를 극복하려면 ‘전례 없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위기를 극복하면서 앞으로 다가올 기회를 준비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과 함께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직업교육(job training)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10월 대규모 흑자로 돌아선 경상수지와 관련해 강 장관은 “통화스와프나 차입도 중요하지만 대외신인도를 가장 확실하게 제고할 수 있는 것이 경상수지 흑자”라고 강조한 뒤 “11월에도 10억달러 이상, 12월에도 그 이상의 흑자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 장관은 “특히 계속 적자였던 여행수지가 흑자로 돌아서면서 내년에도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회의에 참석한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은행 자본확충과 관련해 “은행들의 자구노력이 중요하며 그 이상은 앞서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하향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BIS 제도에서 개선할 사항이 있으면 G20 등 국제적인 자리에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