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금리인상 8월로 늦출듯

소비부문 증가세 주춤·인플레 가능성 낮아져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 인상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늦은 오는 8월쯤이 될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미국의 MSNBC 방송은 12일 내달인 5월 금리인하를 전망해왔던 월가 대다수 애널리스트들이 그 시기를 8월 이후로 늦춰 잡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전망이 나온 직접적 이유는 12일 발표된 거시지표가 경기회복과 거리가 있다는 분석 때문. 경기과열을 막기 위한 금리인상 가능성이 그만큼 낮아졌다는 얘기다. 실제 이날 발표된 3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2% 증가해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한참 밑돌았다. 또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핵심 소매판매 상승률 역시 지난 3개월 평균치인 0.6%보다 낮은 0.4%를 기록했다. 또 미시간대학의 4월 소비자신뢰지수도 94.4(잠정치)를 기록해 지난 3월의 95.7에 못 미쳤다. 월가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미 경제의 중심축인 소비부문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전까지 FRB가 금리를 인상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리먼 브라더스의 분석가인 존 신은 "소비지출 증가세가 1월 이후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FRB가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이유도 사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아지고 있는 점도 이 같은 전망이 제기되는 요인이다. 이날 발표된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달 대비 1% 급등했으나, 유가를 제외한 핵심 PPI는 0.1% 상승에 그치며 안정세를 보였다. 최근 유가가 하락세로 접어들고 있는 만큼 유가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도 사라지면서 전반적인 물가안정을 점치는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또 기업들이 아직 과잉 생산설비와 수익 악화에 허덕이면서 투자에 나서고 있지 못한 것 역시 FRB가 금리인상을 서두르지 않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5월 금리를 인상할 경우 추가 금융비용 부담으로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정리해고가 늘면서 소비마저 위축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메릴린치의 분석가인 존 코너리는 이와 관련 "지금 같이 기업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상도 큰 부담"이라면서"금리인상이 실적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다하는 기업에 큰 충격을 줄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금리인하ㆍ감세ㆍ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부(富)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5월이나 6월에 FRB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한편 앨런 그린스펀 FRB 의장은 오는 17일 상하양원 합동회의에서 통화정책과 경제전망을 밝힐 예정이어서 금리인상과 관련한 그의 의중을 파악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장순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