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1세기 석유는 물…관련산업 경쟁력 높여야"

현대경제硏 보고서


“21세기의 석유는 물이다.”(앤드루 리버리스 다우케미컬 사장) 차세대 산업으로 ‘물’을 꼽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현대경제연구원은 24일 ‘물산업, 21세기 진정한 블루오션’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도 물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자원으로서 물의 가치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유엔은 지난 7월 2025년 물 부족으로 고통받을 인구가 현재 7억명에서 30억명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20세기 전쟁이 석유 때문이었다면 21세기 전쟁의 목적은 물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물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 비해 공급이 이를 받쳐주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예상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구의 물 중 인간이 이용 가능한 담수 규모는 1% 미만인데 담수 공급원인 빗물조차 지역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며 “더욱이 선진국은 물 공급 인프라가 노후화하고 있고 후진국은 물 오염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골드만삭스는 전세계 물 수요가 20년마다 두 배로 늘고 있다고 추정했다. 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물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세계 물산업 규모는 지난해 기준 4,000억~5,000억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먹는 물 판매만도 최근 급증해 시장이 9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특히 매년 상수도와 하수도의 신설, 개선 및 운영 수요가 급증해 연간 750억달러로 추정되는 상ㆍ하수도 신규 투자 규모가 오는 2016년에는 1,4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문기관들은 예상했다. 이 같은 전망을 바탕으로 세계 물기업 1위인 프랑스 베올리아는 일시적 손실을 감수하며 중국 시장에 일찌감치 진출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담수플랜트를 건설하는 두산중공업을 제외하면 물 관련 기업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시장개방의 수순을 밟고 있다. 예 연구위원은 “수도요금 현실화, 물산업 구조개편, 지속적 투자 및 기술개발, 관련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지원책 강구가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