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중銀 가계대출 4000억 급감

지난달 대기업 대출은 1조 늘어… 실수요자 대책 마련 시급

금융 당국의 적극적인 가계대출 자제 권고로 주요 시중은행들의 가계대출이 4,000억원 이상 급감했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5일 현재 276조6,084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4,073억원 줄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은 지난해 말 264조8,220억원에서 1월 말 4,740억원 줄었다가 2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매달 1조원 이상 증가했다. 이달 들어 가계대출이 급감한 이유는 지난달 금융 당국이 은행에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제성장률 이내로 자제토록 권고한 후 은행들이 앞다퉈 가계대출 제한에 나섰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4대 시중은행의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마이너스통장 등 비실수요 대출 억제에 힘입어 전월 말보다 4,617억원 줄어든 8조6,855억원을 나타냈다. 또 신한은행의 주택마련용 주택담보대출은 이달 들어 1,900억원 급감해 실수요 대출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아파트 집단대출도 국민은행에서 44억원, 하나은행에서 80억원가량 줄었다. 반면 주요 시중은행의 대기업 대출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제한한 대신 신용도가 높은 대기업 위주로 대출영업을 강화한 것이다. 실제로 4대 은행의 대기업 대출 잔액은 58조9,639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1조4억원 늘었다. 특히 6월 말 이후 이달 중순까지 대기업 대출 증가액은 4조2,609억원에 이른다. 이처럼 자금이 남아도는 대기업에 돈이 몰리는 반면 서민 가계는 실수요 대출도 이용하기 어려워지자 은행의 자금중개 기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에 돈이 몰리고 있고 가계대출 수요도 많지만 거시경제 안정성 때문에 가계대출이 중단되는 왜곡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