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BSㆍSBS 월드컵 공동중계협상 결렬

KBS "민ㆍ형사 책임 묻겠다" Vs SBS "KBS 고압적"

2010 남아공 월드컵 중계권을 둘러싼 SBS와 KBSㆍMBC간 다툼이 법정공방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조대현 KBS 부사장은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공동중계를 위한 지상파 방송 3사의 협상이 사실상 결렬됐다”며 “SBS는 3사의 공동합의 정신을 깨고 이면계약을 통해 이를 훼손한 만큼 민ㆍ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SBS의 부당함을 호소했다. 조 부사장은 “그동안 올림픽ㆍ월드컵은 코리아 풀(Korea Pool)을 통해 공동구매해 왔지만 2006년 5월8일 SBS가 대행사인 IB스포츠와 비밀합의를 체결하고 FIFA(국제축구연맹)가 코리아 풀에 제시한 입찰기준액보다 2,500만 달러 높은 가격(1억 4,000만 달러)에 단독 계약해버려 코리아 풀이 파기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과거 방송 3사간 국제스포츠 중계권을 두고 다툼을 벌여와 2006년 5월30일 최초로 사장들이 ‘코리아 풀 외에는 어떠한 개별접촉도 하지 않겠다’고 합의했음에도 이를 깨뜨린 것은 막대한 국부유출과 아울러 방송사의 도덕성ㆍ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박영문 KBS 보도본부 스포츠국장은 “2006년 이전 3사가 크고 작은 반칙을 해왔지만 과거 KBS의 사례(1990년 아시안컵, 98년 브라질전, AFC(아시아축구연맹)중계, 2006년 WBC)는 이번 SBS의 반칙과 비교해보면 경기규모 기준으로 500배 이상 차이난다”며 “KBS의 단독계약 움직임에 대한 SBS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이어 “공동중계를 위한 현지의 공간 확보와 ID카드 발급 등의 절차는 지난 2월 말로 끝났지만 SBS가 충분히 확보한 만큼 지금이라도 SBS가 합의정신을 지킨다면 공동중계는 문제가 없고 이에 따른 법적 조치 역시 취하할 수 있다”며 마지막 협상의 여지는 남겨놨다. 한편 SBS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3사 사장단 합의는 2006년 2월 KBS가 AFC패키지 코리아 풀을 깨고 단독 재구매한 뒤 시정을 요구하면서 맺은 것이고, 당시 SBS는 3사 합의를 위반하면 강력한 제재를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KBS가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상호불신 속에 SBS는 불가피하게 올림픽과 월드컵 중계방송권을 단독 구매했고, 계약 직후 사과와 함께 재판매 의사를 밝혔지만 KBS는 현실적인 해결책 마련보다 고압적인 자세로 일관해 왔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