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화·원화 가릴것 없이 은행권 유동성 확보 전쟁

"정부가 지급보증 한다 해서 외화조달 가능한게 아니다<br>국내외 실물경제 회복돼야 '돈맥경화' 풀리기 시작할것"

한국은행과 정부의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에도 불구하고 돈이 돌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달러화 부족으로 원ㆍ달러 환율은 고공행진을 벌이는 가운데 시중 은행들도 글로벌 금융경색 여파로 유동성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외화유동성 확보 찬바람 ‘쌩쌩’=한미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 이후 금융권의 외화차입이 조금씩 이뤄지고 있지만 국내 은행권의 외화 유동성 사정은 여전히 빡빡하다. 실제로 통화스와프 체결이 발표된 지난달 30일 -9원이었던 외환 스와프시장의 3개월물 스와프 포인트는 이달 11일 -18원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18일 -9원으로 다시 오르는 등 불안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외환 스와프포인트는 선물환율에서 현물환율을 뺀 것으로 마이너스 값이 클수록 외화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는 뜻이다. 즉 원화를 대가로 달러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의미다. 외화유동성 사정도 여전하다. 최근 오버나이트(하루짜리 차입)금리는 0.45% 수준으로 이달 초 0.3%에 비해 약 0.15%포인트 상승했다. 1주일 이상 기간물은 국내 은행 간 거래가 전무하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일부 은행들이 과거에 확보해놓은 사모형태의 크레디트 라인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1개월 이상의 신규 자금확보가 어렵다”며 “일단 연말까지는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화조달 여건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은 ‘한국의 국가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데다 외국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사정도 넉넉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의 5년 만기 외화채권에 대한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3~4%포인트 안팎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불안한 모습이다. 19일 현재 4.08%포인트를 기록해 다시 상승하는 추세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급을 보증한다고 해서 중장기 외화조달이 가능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해외 금융사들도 잠재부실을 털어내기에 한창인데 채권을 발행한다고 사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내년 2ㆍ4분기 이후 정부의 외평채 발행이 어떻게 이뤄지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원화 자금시장도 여전히 경색=원화 자금시장의 흐름도 원활하지 못하다. 3개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이달 들어 0.48%포인트, 3개월 은행채 금리도 이 기간 0.81%포인트 떨어졌지만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폭을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3개월 기업어음(CP) 금리도 이달 0.02%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으며 회사채 3년물 금리는 10월 8.13%에서 19일 현재 8.68%로 오히려 올랐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최근 은행채 발행 여건이 나아지면서 은행채 금리가 떨어지고 있지만 국고채와 은행채 금리 격차가 여전히 크다”며 “최소한 격차가 0.50%포인트 이내로 좁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계에서는 국내외 실물경제의 침체가 완화되고 외국인의 자금이탈이 멈추지 않는 한 유동성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자금지원으로 기업들의 롤오버(만기연장)나 신규 자금차입 등 시장의 유동성공급이 이뤄지고 있다”며 “국내 금리도 장기적으로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지금으로서는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는 방법밖에는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