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가 1등] 삼진제약'게보린' - 종근당'펜잘'

'한국인의 두통약' 명예다툼 치열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두통을 훅 날려주는 진통 해열제는 현대인에게 없어선 안될 필수의약품 중 하나다. 국내 진통해열제 시장은 500억원대 규모로 80여개사에서 180여개 제품을 시판하고 있다.이 중 소염진통제(160억원)를 제외한 시장에선 게보린(삼진제약), 펜잘(종근당), 타이레놀(한국얀센), 사리돈에이(한국로슈) 등 상위 4개사 제품이 절반 가량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게보린과 펜잘은 강력하고 빠른 진통효과,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광고마케팅으로 줄곧 매출 1,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두 제품 모두 아세트아미노펜 500㎎ 단일성분으로 강력하고 깨끗한 진통효과를 자랑하지만, 장기복용시 간 독성ㆍ위장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는 타이레놀을 '공동의 적'으로 겨냥하고 있다. ◇게보린 지난 79년 출시된 삼진제약의 게보린은 '맞다! 게보린' 시리즈 광고가 히트하면서 가장 잘 나가는 진통해열제로 자리매김했다. '두통ㆍ치통ㆍ생리통에 효과 빠른 진통해열제' '열나고 머리 아픈데 잘 듣는다는 바로 그 게보린이구나' '게보린, 거참 소문대롤세'로 이어지는 대대적인 광고마케팅은 게보린이 줄곧 매출 1위 자리를 지킬 수 있는 버팀목이 됐다. 삼진측은 이 같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90년대 후반부터 '한국인의 두통약'임을 표방하고 있다. 게보린에 쏟아 붓는 광고비는 연간 30억~40억원. 지난해 11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올해에는 13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보린에는 아세트아미노펜 300㎎,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 무수(無水)카페인 50㎎이 들어 있어 심한 통증이라도 투약 후 5~20분 안에 효과가 나타난다. 회사측은 "통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해 두통뿐 아니라 생리통ㆍ근육통ㆍ신경통에도 잘 듣는다"며 "무수카페인이 진통작용에 상승효과를 일으켜 아세트아미노펜의 복용량을 3분의1로 감소시켜 부작용을 줄여준다"고 강조했다. ◇펜잘 종근당이 지난 84년 출시한 진통제로 아세트아미노펜 250㎎, 이소프로필안티피린 200㎎, 무수카페인 50㎎과 데아놀 25㎎이 들어있다. 중추신경작용을 증진시키는 데아놀은 정신집중이 안되거나 기억력 감퇴를 동반하는 두통, 스트레스나 만성피로에서 오는 두통 등에도 신속한 개선효과를 보여준다. 또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간 독성과 위장장애 등 일반 진통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해 준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 종근당은 제품 출시 후 주력 광고품목으로 선정, '두통ㆍ치통ㆍ생리통에 펜잘' '펜잘, 펜잘'이라는 광고문구로 소비자들에게 제품 인지도를 높여 왔다. 최근에는 신세대 수요창출을 겨냥해 양미라를 캐스팅, 광고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6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올해 목표는 70억원이다. 임웅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