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퓨전 금융상품 전성시대] 생보사, 변액유니버설보험 인기몰이

보험료 불입 자유롭고 간접투자 실적배당<BR>직장인등 10년이상 중장기투자 최고상품

얼마전까지만 해도 저축성보험 가입자가 급히 자금이 필요해서 보험료 적립금을 써야 할 때는 부득불 이 계약을 해약해야만 가능했다. 그러나 지금을 그럴 필요가 없다. 은행상품과 같이 중도 인출 기능이 있는 유니버설보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 종합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나가는 요즘, 간접투자 상품을 꼭 증권이나 투신사에서만 찾을 필요도 없다. 변액보험으로 간접투자가 가능해 졌기 때문이다. 유니버설보험에 변액보험이 결합된 신개념의 보험상품이 증시 활황과 맞물려 날개 돋친 듯이 팔리고 있는 것이다. 유니버설보험은 보험상품에 은행의 입ㆍ출금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이해하면 쉽다. 기존 보험상품은 계약이 끝나기 전에 보험료 적립금을 찾아 쓰려면 계약을 해약해야만 했다. 반면 유니버설보험은 해약환급금의 50%의 범위 내에서는 계약을 깨지 않아도 보험료 적립금을 찾아 쓸 수 있다. 또 유니버설보험은 2년간의 정기적인 보험료 불입이 끝나면 그 이후부터 자유로운 보험료 불입이 가능하고 가입 10년 후부터는 이자소득세가 비과세 된다. 이런 특징을 같고 있는 유니버설보험에 변액보험을 결합한 것이 변액유니버설보험이기 때문에 거의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두 상품의 차이점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를 운용하는 방식이다. 유니버설보험은 시중금리에 따른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반면 변액유니버설보험은 주식이나 채권, 글로벌혼합펀드 등 다양한 자산에 운용해 그 실적을 배당한다. 유니버설보험은 종신보험이나 연금보험 형태로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CI(Critical Illness)보험과 결합된 유니버설CI보험도 등장했다. CI보험은 피보험자가 중병에 걸렸을 때 사망보험금 일부를 먼저 받아 치료비로 활용할 수 있는 상품. 유니버설 CI보험은 여기에 수시입출금 기능이 있어 약속된 보장은 유지되면서 보험료 적립금을 중도에 인출할 수 있다. 또 계약 후 2년이 지나면 형편에 따라 보험료를 많이 내거나 덜 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기간 보험료를 아예 내지 않아도 계약이 유지된다. 변액유니버설보험 역시 종신이나 연금보험의 기능을 추가해 판매되고 있지만 순수 저축성보험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다른 보장 기능을 축소한 변액유니버설보험은 사망보험금(변액유니버설종신)이나 최저지급보증금(변액유니버설연금) 지급을 위해 보험료에서 떼어내는 위험보험료나 수수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펀드에 투자되는 금액이 크다. 따라서 같은 수익률이 나더라도 더 많은 수익을 챙길 수 있는 상품이다. 보험전문가들은 변액유니버설보험이 사무직 직장인 등 중산층 중에서 10년 이상 중장기 투자를 통한 목돈마련을 계획하고 있는 고객에게 적합하다고 권한다. 또 기업인이나 자영업자는 보험료 추가납입이나 중도인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또 세금관리나 노후ㆍ상속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변액유니버설보험이 바람직 하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