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산 디스플레이 넘버원"

애플 아이폰도… 구글 넥서스원도…<br>"OLED·LCD등 화질 뛰어나"<br>스마트폰외 3D 컴퓨터등도<br>삼성·LGD 제품 채택 늘어나


'첨단 스마트폰의 공통점은 한국산 디스플레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스마트폰인 아이폰과 이에 맞서는 구글의 넥서스원 모두 OLEDㆍLCD 등 한국산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산 디스플레이가 화질 등의 면에서 워낙 뛰어나 스마트폰 외에 3D컴퓨터 등 세계적 첨단제품에 채택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는 최근 애플 아이폰의 대항마로 급부상하고 있는 구글 넥서스원의 부품을 분석한 결과 제조원가가 174.15달러로 이중 한국산 제품이 25%를 차지한다고 발표했다. 넥서스원의 경우 화면을 3.7인치 AMOLED로 사용했는데 다름아닌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 제품이다. 넥서스원에는 SMD의 AMOLED 외에 삼성전자의 4GB 낸드플래시 메모리도 탑재됐다. 스마프폰 열풍을 몰고 온 애플의 아이폰도 마찬가지다. 외신 등에 따르면 아이폰은 액정을 삼성전자의 LCD로 채택했다. 삼성전자는 액정 외에 아이폰에 낸드플래시도 공급하고 있다. 애플의 야심작 중 하나인 아이팟 액정도 한국산 부품이다. 아이팟은 LG디스플레에서 공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컴퓨터 회사인 델은 곧 3D모니터를 채택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핵심인 3D모니터를 납품하는 곳은 바로 한국의 LG디스플레이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3D모니터를 개발, 양산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반도체에 이어 LCD도 한국산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면서 최근 나오는 첨단 기기제품에 한국산 액정 채용이 부쩍 증가하고 있다"며 "비밀계약에 따라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못하지만 한국산 LCD가 채택된 제품은 이보다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소형 2차전지 분야에서 한국산 제품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다. 이렇다 보니 요즘 나오는 최신 핸드폰ㆍ넷북 등의 경우 한국산 2차전지 사용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설명이다. 애플이 의욕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태블릿PC' 역시 한국 업체가 주요 부품 공급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USB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삼성전자는 애플 태블릿의 중앙처리장치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공급하고 LG디스플레이는 액정표시장치를 공급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