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 7월 6일] <1741> 오데르-나이세선


1950년 7월6일, 폴란드와 동독이 '평화와 우정의 국경협정'을 맺었다. 골자는 오데르-나이세(Oder-Neisse)선의 인정. 오데르강과 나이세강을 동독과 폴란드의 국경으로 삼자는 합의에 서독이 발끈하고 나섰다. 분개한 서독 실향민들은 전독난민당을 조직해 실지 회복을 부르짖었다. 그럴 만했다. 잃게 된 동프로이센 지역은 독일 전체 영토의 24%를 차지했으니까. 서독은 패전국 처지인데다 상실 영토가 동독 지역이었어도 독일 지역 내 유일한 합법정부를 주장하던 터라 받아들이기 힘든 국경이었다. 답답한 것은 미국ㆍ영국ㆍ소련이 테헤란과 얄타회담 등 전후 처리과정에서 수 차례나 암묵적으로 독일 영토축소에 합의했었다는 사실. 미국와 영국의 어정쩡한 태도에 서독은 마땅한 대책을 찾지 못한 채 한 가지에만 매달렸다. 1960년대 말까지 조약 무효를 줄기차게 주장한 것이다. 서독의 입장이 바뀌기 시작한 것은 동방정책, 즉 대공산권 유화정책을 채택한 브란트 정권부터. 1970년 소련ㆍ폴란드와 잇따라 조약을 맺고 오데르-나이세선을 국경으로 인정하고 말았다. 서독 내부에서 반발이 없지 않았지만 브랜트는 총선에서 압승하며 반론을 잠재웠다. 통독 이후에도 오데르-나이세선은 폴란드와 국경으로 확정됐다. 독일이 국제사회에서 지도력을 인정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반성하고 인정한다는 점이다. 한국과 중국ㆍ러시아와 영토분쟁을 일으키는 일본과는 확실히 다르다. 국가정책이 바뀌는 동안 내부갈등이 거의 없었다는 점도 부러운 대목이다. 독일은 여전히 옛 독일 땅에서 자양분을 얻는다. 중동부유럽은 독일경제의 뒤뜰이다. 클로제와 포돌스키 등 독일의 월드컵 스타들도 동프로이센 지역 출신이다. 굳건한 경제력 덕에 실지를 완전히 상실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과언일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