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신용등급상향] 외평채 가산금리 하락

홍콩의 한 펀드매니저는 11일(이하 현지시간) 이번 등급 상향이 "아시아의 회복이 지속 가능한 것임을 입증했다"면서 "더 좋아질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S&P는 한국과 말레이시의 장기외화채권 신용등급을 각각 BBB로 상향조정했다. 이 조치가 취해지자 아시아 채권 대부분의 가산금리가 미국 재향군인의 날로 주요 금융시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은 이날에만 0.15-0.20%포인트 낮아지는 등 즉각적인 파급 효과가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미 채권시장이 12일 재개되면 가산금리가 더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내다봤다. 한국물의 경우 11일 10년 만기 외평채(2008년 상환)의 가산금리가 미 국채보다1.80-1.90%포인트 높게 거래됐다. 이는 전날 뉴욕시장에서 거래된 2.00-2.10%포인트보다 낮아진 것이다. 말레이시아물도 가산금리가 내려가 기준 상품인 페트로나스 채권이 2.05-2.15%포인트에서 1.90-2.10%포인트로 낮아졌다. 아시아 채권펀드 다수를 관리하는 인도캠의 투자전략 책임자인 테렌스 구는 "이번 신용등급 상향이 의미심장한 것"이라면서 "한국과 말레이시아가 투자 권장 등급이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도이체방크의 싱가포르 소재 아시아 고정투자 책임자인 마틴 호헨스도 "국제 채권투자 자금이 계속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한국물의 가산금리가 더 낮아질 여지가 상존한다"고 내다봤다. 골드만 삭스의 신용분석 책임자인 팡 지앙은 "한국물의 가산금리가 S&P에 의해역시 BBB 등급을 부여받고 있는 중국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그 차이가 0.1-0.2%포인트로 좁혀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말은 한국의 10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가 지금보다 0.1%포인트 더 낮아질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신용등급이 추가 상향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테렌스 구는 말레이시아와 특히 한국의 등급이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시장 일각에서는 한국의 신용등급이 두 단계 더 뛸 수 있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S&P의 싱가포르 소재 분석가인 오가와 다카히라는 "한국의 신용 정도가 말레이시아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홍콩 AP=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