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날씨 예보처럼 자살 주의보 알린다

김도관 성균관의대 교수팀<br>SNS 빅데이터·실업률 등 반영<br>자살예측 정확도 80% 달해

자살확률을 예측해 날씨 예보처럼 주의보나 경보를 내릴 수 있게 됐다.

김도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소셜미디어 분석업체인 다음소프트와 공동으로 국내 첫 자살 예보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자살 위험을 예측해 '자살 주의보' '자살 경보' 등을 발령할 수 있다. 연구팀은 2008년과 2009년의 국가 자살통계와 비교한 결과 자살 예보시스템의 정확성은 79%에 달했다.

자살 예보시스템은 1억5,000만건에 달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반의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자료와 그동안 자살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물가, 실업률, 주가지수, 일조량, 기온, 유명인 자살(베르테르 효과) 등의 요인을 총망라해 분석한다.


자살률이 높아질 때 개인 블로그나 트위터 등 SNS에서 '힘들다'와 '자살' 등과 같은 자살 관련 용어 사용이 늘어나는 것을 반영하는 식이다. 실제로 탤런트 최진실씨 등 유명인의 자살 이후 1~2개월 정도는 자살 관련 용어가 SNS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빅데이터를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할 경우 예측 정확도를 90%대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날씨를 변화시킬 수는 없지만 예보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듯이 자살 위험도가 높을 때 집중적으로 관리한다면 자원과 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해 자살률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살 관련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도 이번 연구 성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조만간 연구진과 만남을 갖고 별도의 지원이나 정책 반영 여부 등에 대한 내부 검토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