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폭발물 등 위해물질 실시간 검출기술 개발

표준연 이대수 박사팀 고속 케라헤르츠 분광기술

G20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보안검색 기술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테러 방지를 위한 위해물질 검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전측정센터 이대수 박사팀은 폭발물 등의 위해물질 검출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고속 테라헤르츠 분광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테라헤르츠 펄스파의 1초 당 발생횟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활용해 기존 기술보다 분광 측정 시간을 50배 이상 크게 단축시켰다. 테라헤르츠(THz)는 1조를 뜻하는 테라에 주파수 단위인 헤르츠가 결합된 용어다. 테라헤르츠 분광 기술은 보통 0.1~4 THz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폭발물은 이 주파수 대역에서 특이한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다. 이에 따라 폭발물, 마약 등이 갖고 있는 고유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위해물질의 성분을 식별할 수 있는 것. 특히 기존 기술과 달리 분광 측정 시간이 매우 짧아 공항, 항만 등 현장에서 위해물질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물건의 성분이나 내부 구조를 비파괴적으로 손쉽게 검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점을 살려 테라헤르츠 분광기술을 이용할 경우, 물건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를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나 옷 등을 투과해 물질을 검색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이대수 박사는 “앞으로 공항 보안검색에서 폭발물, 액체폭탄 등을 쉽고 빠르게 판별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 고속 분광기술을 활용해 고속 3차원 비파괴검사 기술 개발에도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