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헌재 "미디업법 가결 유효"] 法 논쟁 일단락… '종편 짝짓기' 속도낼듯

■업계 움직임은<br>일부 언론사 국내외 업체와 컨소시엄 구성 박차<br>기업들 반대여론 부담… '소수지분 참여' 가능성

국회의장실 관계자들이 29일 헌법재판소에서 지난 7월 국회에서 통과된 미디어법 처리에 대한 헌재의 결정을 기다리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SetSectionName(); [헌재 "미디업법 가결 유효"] 法 논쟁 일단락… '종편 짝짓기' 속도낼듯 ■업계 움직임은일부 언론사 국내외 업체와 컨소시엄 구성 박차기업들 반대여론 부담… '소수지분 참여' 가능성 송영규기자 skong@sed.co.kr 사진=류효진기자 jsknight@hk.co.kr 국회의장실 관계자들이 29일 헌법재판소에서 지난 7월 국회에서 통과된 미디어법 처리에 대한 헌재의 결정을 기다리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헌법재판소가 신문법과 방송법 등 미디어 관련법이 유효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정부의 발걸음이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종합편성채널 사업자가 되기 위한 신문사와 기업ㆍ콘텐츠업체들 간의 짝짓기 행보도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언론사ㆍ기업ㆍ콘텐츠업체 간 짝짓기 가속화=헌재가 비록 절차상 문제를 지적하기는 했지만 미디어법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냄으로써 방송시장 진입을 위한 언론사와 대기업들의 컨소시엄 구성작업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헌재 결정으로 언론사와 대기업의 방송시장 진입의 걸림돌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현재 방송시장 진입을 염두고 두고 있는 언론사는 종합지와 경제지 등 약 7~8개에 달한다. 이들 언론사는 내부에 최대 100여명이 넘는 전담인력을 구성하고 국내외 업체들과의 컨소시엄 구성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일부 언론사의 경우 글로벌 콘텐츠기업과 컨소시엄 구성에 합의했고 다른 신문들도 대기업ㆍ중견기업을 찾아다니며 컨소시엄 참여 요청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케이블방송업체들도 종합유선방송사(MSO)를 중심으로 종편 참여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기업은 일단 여론 눈치 보며 참여 선택할 듯=기업들도 기존의 수동적인 입장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대기업의 경우 표면적으로는 방송시장 참여가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시장분석팀을 가동하는 등 나름대로 준비를 해오고 있었다. 실제로 대기업 A사의 경우 언론사의 구애에 대비해 시장조사팀을 구성하기도 했고 일부 통신업체의 경우 신규 콘텐츠 확보 차원에서 컨소시엄 참여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나설지는 아직 미지수다. 일단 초기자금만 3,000억원이 필요하고 참여한다고 하더라도 성공 가능성을 보장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헌재에서 미디어법이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결정을 한 상태에서 여론의 눈치도 봐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기보다는 여론의 향배를 일단 살펴본 뒤 소수지분으로 참여하는 형식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 매출액 10조원이 넘는 대기업인 A사의 한 관계자는 "우리가 언론사와의 컨소시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컨소시엄에 참여한다고 해도 소수지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방송시장 본격 경쟁체제로…시청자 선택권 확대=언론사와 대기업의 진출은 방송시장의 구조를 뒤흔들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지상파 방송 3사가 과점하고 있었던 방송시장이 언론사와 대기업의 참여로 다수의 시장참여자들이 활동하는 본격적인 경쟁체제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이번 결정으로 언론사와 대기업은 종합편성과 보도채널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물꼬를 텄다. 종합편성채널이란 기존의 지상파 방송사처럼 한 채널에서 드라마와 연예프로그램ㆍ뉴스 등 모든 분야의 방송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케이블방송과 인터넷TV(IPTV), 위성방송 등에서 반드시 방영해야 하는 때문에 지상파 방송사와 버금가는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새로 들어오는 종편사업자에 대해 채널편성권 등 적극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이러한 종편사업자의 등장은 다른 한편으로 시청자들에게 이전보다 더 많은 채널선택권을 제공한다. 실제로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에 최소 1~2개의 종합편성채널사업자와 1개 정도의 보도채널사업자를 우선 선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되면 종합편성채널은 지상파 3사 외에 최대 5개로 늘어나게 되고 보도채널도 2개에서 3개로 늘어난다.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지상파 방송사처럼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채널 수가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만큼 시청자들의 채널선택권은 넓어지는 것이다. 또 대기업의 자본력과 기술, 언론사가 지닌 콘텐츠가 결합하면서 볼거리가 더욱 풍성해 질 수도 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