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진출이 가능한 일자리가 81만개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북미의 의료전문인력과 초ㆍ중등 교사 등 약 50만명을 비롯해 일본의 정보통신기술인력 5만명, 중국진출 국내기업에 3만명 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만성적인 청년실업에 허덕이는 우리 입장에서는 듣기만해도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정부가 올해 최대의 경제과제를 고용확대에 두고 있지만 실업률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더욱이 40만개 일자리 창출에 성공하더라도 주당 36시간 미만의 불완전취업자나 비정규직 근로자가 늘어난다면 제대로 된 일자리라고 볼 수 없다. 단기간의 재정지출을 통한 임시직의 증가는 명목 실업률만 낮추는 효과가 있을 뿐 생산성 저하와 노사분규의 또 다른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6만명에 이르는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해외취업에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해외의 남아도는 일자리가 모두 한국인만을 기다리고 있지는 않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실제로 지난해 산업인력공단에 해외취업을 지원한 3만3,600여명 가운데 약 1.7%인 570여명만이 취업에 성공한 것은 그만큼 해외인력시장의 경쟁이 만만치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행히도 산업인력공단이 분야별 전문연수기관을 통한 해외취업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고 지난해 1,450여명의 입학생 가운데 550명이 수료해 242명이나 취업했다는 사실은 해외취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해외 취업을 꾸준히 늘려가려면 우선 수요국가의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정부가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강화하고 재정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아울러 구직자 스스로도 적응훈련에 한층 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특히 선진국의 인력 수요는 풍부하지만 대부분의 구직자들이 실력을 갖추지 않은 채 취업욕구부터 앞선다는 게 실무자들의 분석이고 보면 장기적인 안목에서 꾸준한 맞춤 취업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