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희 전 기업은행장과 이종휘 미소금융재단 이사장은 여러모로 닮은꼴이다.
두 사람 모두 한 조직에서만 일해온 일종의 '프랜차이즈 선수'다. 행원에서 시작해 은행원의 꽃인 행장에 올랐다. 두 사람은 금융권 하마평 시즌의 단골손님들이기도 하다. 자리가 생기면 자가발전하는 다른 인사들과 달리 타천에 의해 리스트에 오른다는 점도 비슷하다.
한 사람은 연임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다른 한 사람은 친정에서 회장 자리에 끝내 오르지 못한 아픔을 겪은 것도 비슷하다.
금융권 인사에서 관료 출신을 배제한다는 대원칙이 적용되면서 두 정통 뱅커의 행보에 다시 한번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두 사람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KB금융그룹 회장, 오는 11월 임기가 만료되는 은행연합회장의 유력후보로 꼽힌다.
조 전 행장과 이 이사장이 각종 금융기관 최고경영자(CEO) 후보로 거론되는 것은 두 가지 관점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안타깝지만 그만큼 앞세대 뱅커 중에서 다시 제도권으로 나올 수 있는 이들이 많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짧은 우리나라 금융산업 역사에서 족적을 남긴 이들은 물론 많다. 그러나 나이가 많아 복귀가 힘들거나 또 현역으로 복귀하고 싶어도 각종 꼬리표 탓에 부활이 어려운 이들이 많다.
라응찬 전 신한금융 회장,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등이 그렇다.
그런 면에서 조 전 행장과 이 이사장은 다시 시장에서 쓰일 수 있는 몇 안 되는 정통 뱅커들이다.
먼저 조 전 행장과 관련해서는 알려지지 않은 일화가 하나 있다. 임영록 KB금융 회장이 선임될 당시 낙하산 인사라고 반발하던 국민은행 노조는 '왜 우리는 조준희 행장 같은 내부출신이 없을까'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국민은행 노조는 성명서에서 "조 행장은 내부출신으로 취임하자마자 평소의 소신대로 여러 정책을 도입했고 그 결과 기업은행의 위상은 괄목할 만한 주목을 받았다.(중략) 인물이 없다면 조준희라도 데려와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조 전 행장은 기업은행장 재임 기간 △대출 최고금리 한자릿수 인하 △기술금융 활성화 등의 실험을 통해 창조금융의 반석을 다져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업적 때문에 조 행장은 지난해 연임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됐지만 결국 자리를 내려왔다.
하지만 경제관료의 전유물이었던 기업은행장 자리를 내부출신인 권선주 행장으로까지 이어지도록 만든 점은 조 전 행장의 최대공적으로 평가된다.
금융계의 한 원로는 "조 행장이 친화력과 영업력 면에서 워낙 탁월해 KB라는 거대 조직을 이끌어 그들이 가진 잠재력을 이끌 경우 상당한 파괴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인사는 "은행연합회장에 선임될 경우에도 뱅커 출신으로 은행이 안고 있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푸는 데 적임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 이사장 역시 자타가 공인하는 조직 운영의 달인이다.
이 이사장은 특유의 원칙주의로 우리은행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황영기 행장 시절 수석부행장을 맡고 있던 이 이사장은 박해춘 행장이 취임하면서 은행을 떠났다. 이후 박 행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떠나자 후임 행장으로 복귀했다. 이 이사장은 황영기·박해춘 등 외부출신이 번갈아 맡던 우리은행장 자리를 내부출신이 맡게끔 물길을 돌려놓았다.
뱅커로서 국가 경제 위기를 성공적으로 수습한 경험도 이 이사장의 장점으로 꼽힌다. 2004년 LG카드 사태가 터졌을 당시 기업금융담당 부행장이었던 그는 전 금융권을 대표해 LG카드 사태 수습을 총괄했다. 그때 이 이사장 밑에서 기업금융단장으로 손발을 맞췄던 이가 이순우 현 우리금융 회장이었다.
이 이사장은 지난해 이 회장과 마지막까지 회장 자리를 놓고 경합하다가 패해 끝내 꿈을 이루지 못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조준희·이종휘 두 사람 모두 뼛속까지 은행원이라고 할 정도로 업무에 천착하는 스타일"이라며 "자신들의 활약에 따라 뱅커 출신을 대하는 시선도 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