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對中수출 10대품목 日·타이완産과 경합

산자부 분석, 말聯등 후발국 추격속도도 빨라져올들어 미국을 제치고 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했지만 반도체 등 우리의 10대 주력수출품목이 모두 타이완ㆍ일본 등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등 후발국가의 추격도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산업자원부가 내놓은 '최근 대중국 수출패턴의 변화 및 중국시장 내 우리 수출의 경쟁관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월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중국통계 기준)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5% 늘어났지만 타이완은 38.3%, 일본 20.4%, 독일은 20.0%가 각각 증가했다. 산자부는 최근 10년간 우리의 대중 수출품목은 경공업제품 중심에서 중화학 및 정보기술(IT) 제품 위주로 변화되고 볼륨도 커지고 있지만 타이완과 일본이 우리의 주력 10대 품목과 모두 경합관계인데다 한국산에 대한 수입규제가 심해지고 있어 수출 증대가 결코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4년간 중국시장의 수출경쟁력 추이를 보면 일본이 98년 시장점유율 20.2%에서 올해는 18.1%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타이완은 98년 미국에 이어 3위였고 2000년과 올해 모두 2위를 유지했으며 점유율도 98년 11.9%에서 올해는 12.9%로 상승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98년 4위에서 2000년 이후 3위가 됐지만 점유율은 98년 10.7%에서 올해 9.4%로 하락, 한자릿수로 떨어졌다. 미국은 98년 점유율 12.1%로 2위였지만 올해는 9.3%에 4위로 추락했다. 올해 우리의 중국 10대 수출품목을 기준으로 경합관계를 분석한 결과 10대 품목 모두에서 타이완 및 일본과 경쟁 중이다. 특히 최대 경쟁국인 타이완은 액정장치와 반도체ㆍ폴리스티렌 등 4개 품목에서 우리보다 앞섰고 무선통신기기와 브라운관 등 6개 품목에서는 우리나라에 밀렸다. 이밖에 싱가포르는 반도체와 폴리에틸렌에서 경쟁이 격해지고 있고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분야에서 우리를 추월하고 합성수지와 석유화학원료에서 경합 중이다. 이병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