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득교역조건지수 증가세로 반전

"성장률 1~3분기 선행" 경기회복 청신호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을 뜻하는 소득교역조건 지수가 감소추세에서 증가세로 반전됐다. 교역조건은 경기회복에 선행한다는 점에서 교역조건 개선은 경기 회복에 청신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소득교역조건 지수는 163.9로 전년 동기(156.5)에 비해 4.7% 늘어나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반전됐다. 소득교역조건 지수가 163.9라는 것은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이 지난 95년을 100으로 할때 163.9에 이른다는 뜻이다. 이 지수는 작년 9월 이후 전년동기와 비교해 감소세가 지속됐다. 이와 함께 수출 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수입량을 뜻하는 '순상품 교역조건' 지수도 지난해 11월 67.3으로 전년동기(67.9)에 비해 0.9% 감소하는데 그쳐 조만간 감소세에서도 벗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순상품 교역조건 지수는 지난해 8월 64.9로 전년동기대비 감소율이 13.2%를 기록했고 9월에는 65.7로 전년동기대비 9.4%, 10월에는 67.3으로 5.7% 감소하는 등 감소폭이 줄어들고 있다. 교역조건 지수는 지난해 9월부터 원유가가 하락하고 11월부터는 반도체 가격도 소폭 상승세를 보이면서 개선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교역조건은 경제 성장률에 1-3분기 선행하며 이 지수가 개선되거나 악화폭이 축소될 때는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효과를 낸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원유가가 배럴당 20달러 선을 밑돌고 반도체 가격도 빠르게 상승해 교역조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안의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