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혼수용 이불 대부분 '화학 솜'

소보원 조사, '100% 목화제품' 1종뿐시중에서 혼수용으로 판매되는 명주ㆍ목화솜 이불이 대부분 값싼 화학 솜을 사용한 저급 제품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최근 서울 등 7대 도시의 대형 재래시장에서 혼수용으로 판매되는 명주 솜이불 14종과 목화 솜요 14종을 대상으로 혼용률을 조사한 결과 명주솜 이불의 64.3%(9종), 목화솜 요의 92.9%(13종)가 폴리에스터ㆍ레이온 등 값싼 화학 솜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소보원에 따르면 대전광역시 D상회의 경우 100% 폴리에스터솜을 집어 넣은 제품을 명주솜 이불로 판매하는 등 대부분의 업체가 최소 30%에서 최대 90%까지 화학솜을 사용했다. 특히 목화솜 요의 경우 100% 목화솜을 사용한 제품은 단 1종에 불과했으며 나머지는 10~79%까지 폴리에스터솜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물가협회에 따르면 이부자리 솜 도매시장에서 명주솜은 ㎏당 2만~2만6,000원, 목화솜은 3,200~4,800원대에 각각 거래되는 데 반해 합성솜은 2,500~3,200원으로 큰 가격차를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급 합성솜을 고급 명주솜으로 속여 판매할 경우 8배 정도의 부당 이득이 발생하며 고급 합성솜을 고급 목화솜으로 팔게 되면 1.5배의 이득을 챙길 수 있다. 지난해 동안 이불솜 소재와 관련해 소보원에 접수된 민원도 전년 대비 1.5배 증가한 176건에 이르고 있다. 소보원은 일반 소비자들이 육안으로 솜의 소재를 구분하기 어렵지만 솜을 태워보는 방법으로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상범기자 ssang@sed.co.kr

관련기사



정상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